속보=대한상공회의소(이한 대한상의)가 산하기관인 전북 인력개발원(군산시 소룡동 소재)에 대해 수요감소와 적자경영을 이유로 10월 안에 휴원하겠다고 예정한 상황에서 전북 정치권은 “당장 수요가 없더라도 휴원을 하기보다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관련기사 30일 1면)
군산시는 지난 2017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청년유출이 심화된 상황이라, 당장 수익성만 토대로 휴원을 결정하기엔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다. 특히 고용·산업위기지역에서 벗어나야 하는 지역에서 공공 직업훈련과정마저 없어지면 경제위기를 극복할 만한 활로가 차단된다는 것이다. 전북과 같이 휴원계획에 포함된 강원, 충북과 동일한 잣대를 갖대댈 수는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전북도당위원장(완주진안무주장수)은 “군산 경제가 살아나야 하는 데 지역에서 미취업자 기능인력 사업을 담당하는 기관이 없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라며 “사업 다변화 등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정운천 도당위원장(전주을)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적자가 나서 휴원한다고 밝혀 답답한 상황”이라면서도 “군산경제를 생각하면 그대로 둘 수는 없는 노릇이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세금으로 상공회의소에 대한 지원을 넓히거나 중소기업연수원과 같은 국가기관이 취업 인력 양성교육을 대행해서 하는 등 다각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전주병)는 “전북 경제가 초토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당 차원에서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에게 연락을 한 후, 직접 대한상공회의소에 방문해서 대안을 마련토록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 유성엽 대표(정읍고창)는 “현재 수요가 없다고 전북인력개발원을 휴원하는 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등으로 경제가 악화된 군산에선 너무 고통스러운 일”이라며 “당장은 어렵지만 미래 수요를 감안해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취업 교육과정 등 다변화를 꾀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