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일단락 됐다.
정헌율 익산시장과 음식물쓰레기 반입 저지에 나선 동산동 주민 대표들은 지난 2일 긴급 간담회를 갖고 3일부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 정상 운영에 나서기로 전격 합의했다.
지난 1일부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트랙터로 차단하고 수거 운반차량 진입을 일체 막아서는 주민 집단 실력행사에 나선지 이틀만에 정상 가동으로 돌아갔다.
주민들이 음식물쓰레기 반입 금지를 위한 집회신고를 9월 30일부터 10월 25일까지 냄으로써 자칫 장기화로 치닫지 않을까 크게 우려된 상황에서 한발 물러 선 주민들의 깊은 배려로 극적 타결에 이르게 됐다.
특히 주민들의 이같은 양보에는 조속한 사태 해결을 위해 지난달 30일부터 매일 같이 현장 방문에 나서 주민들과 긴밀한 접촉을 갖는 등 정 시장의 적극적인 대민 스킨쉽과 설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좋은 선례로 평가되고 있다.
정 시장은 “사태가 장기화로 치달을 경우 예산낭비, 주민 간 갈등 등 또다른 문제로 이어질수 있어 사실 많은 걱정과 우려를 했다”며 “넓은 이해와 양해를 아끼지 않은 동산동 주민들에게 다시한번 깊은 고마움을 전하고, 음식물쓰레기 배출 자제 및 감량에 적극 협조해 준 시민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당초 예상과 달리 사태가 조기 종결되면서 시민들은 크게 안도하고 있다.
하지만 익산시는 이번 사태 발생으로 인해 더욱 큰 숙제를 떠안게 됐다.
동산동 주민들이 근본적인 사태 봉합 해결책으로 음식물처리장 부송동 이전을 강력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 시장은 이에 “당장의 이전은 지역주민 간 갈등만 초래할 뿐이다. 이전 문제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시의회 및 주민들간의 대화를 거쳐 공감대를 형성한 뒤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지만 골머리를 앓게 됐다.
이번 사태가 일단 수면 밑으로 가라 앉았지만 음식물쓰레기장을 둘러싼 동산동 주민들의 반발은 언제든 다시 폭발할수 있는 휴화산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사실 이번 음식물레기 반입 저지 사태는 처리장 시설 개선공사를 둘러싼 일부 시의원의 특혜의혹 제기가 무엇보다도 큰 빌미가 되었다.
수년에 걸쳐 악취 고통에 시달려 온 동산동 주민들이 직접 연소시설 도입을 통한 시설변경 개선을 요구해 이에 따른 인허가 절차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특혜 의혹을 제기돼 시설개선이 자꾸 지연되자 급기야 음식물쓰레기 반입저지에 나서게 됐다.
주민들은 “일부 시의원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의 시설개선 허가에 대해 특혜의혹을 제기하고 있는데 우리 동산동은 시로부터 어떠한 특혜도 받지 않았다. 특혜의혹을 제기하지 말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을 해당 시의원의 지역구로 아예 옮겨가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시는 이번 사태 발생에 따른 근본적인 배경과 원인 등을 철저히 분석하고 적극적인 대응 및 해결책 마련에 당장 나서야 할것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