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주시가 LH와 손잡고 가련산공원에 대규모 아파트를 건립하는 계획이 백지화 수순을 밟고 있다.(2일자 5면)
시는 이곳을 매입해 도심공원으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시의 결정으로 공원에 대한 개발은 중단됐지만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던 일부 토지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4일 전주시는 임대아파트건설촉진법과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의 해소를 위한 특별법에 따라 LH와 함께 추진하던 가련산공원 아파트 건립 계획을 사실상 중단했다. 사업 취소를 위한 행정절차가 마무리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아파트 공급률이 100%를 넘어섰고, 도심권 공원을 개발하는데 따른 환경단체의 반발과 지역사회 갈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정이다.
내년 6월말까지 실시계획인가 등의 행정절차를 밟지 않으면 공원지구를 해제해야 하는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 일몰제 규정에 따라 실시계획인가 용역도 서둘러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내년 5월까지 가련산공원의 실시계획인가를 얻은 뒤 향후 5년 이내에 토지보상을 거쳐 소유권을 모두 전주시로 이전시킬 계획이다.
그러나 전주시가 매입해 공원으로 유지하기로 가닥을 잡으면서 토지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내년 7월부터 공원부지에 대한 일몰제가 적용되면 공원지구가 해제돼 개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진 분위기 때문이다.
특히 시가 매입하기로 결정했지만 언제부터 보상이 이뤄질지도 미지수로 남겨지면서 토지주들의 반발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의 일몰제 적용 이전에 실시계획인가를 받고 5년 이내에 부지를 매입하는 방향으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며 “늦은 토지보상에 따른 반발과 일몰제 적용에 따른 개발 기대감이 높은 건 이해하지만 전주시의 미래를 위해 협조를 당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는 지난해부터 LH와 함께 이곳 부지의 30%를 아파트 부지로 개발해 임대아파트와 분양아파트를 건설해 발생한 수익금으로 70%를 공원다운 공원으로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