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에코시티에 있는 기무부대 부지가 1년 넘게 대책없이 방치되고 있어 논란이다.
국방부와 전주시 등에 따르면 에코시티 중심에 위치한 기무부대 부지 3만8000㎡가 1년째 방치되어 있다. 국군기무사령부가 민간인 사찰 문제 등으로 지난해 9월 해체되고 군사안보지원사령부가 창설되면서 공터가 됐다.
기무사 해체 당시 부대 부지는 무상 양여가 기대됐다. 국민적 공분을 사 해체된 기무부대 부지를 지역에 환원해 공공시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국방부가 “(전주를 포함한) 기무부대 4곳의 부지를 지자체에 매각하거나 교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양상이 달라졌다.
지역 사회에서는 국방부가 대승적인 차원으로 해당 부지를 무상 양여해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했지만 국방부는 양보하지 않고 있다.
국방부는 이 부지를 전주시에 매각할 방침이다. 문제는 땅값이 300억 원에 달한다는 점이다. 전주시는 예산이 없다며 매입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신도시 안에 대규모 부지가 방치되면서 주민들의 불만과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입주를 시작해 1만8000가구, 3만2000여 명이 거주하는 에코시티 주민들은 해당 부지를 공원이나 도서관 등 공공시설로 활용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한필수 에코시티발전협의회장은 “에코시티 주민들은 해당 부지를 매입해서라도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시설이 들어서기 바란다. 전주시에 주민들의 의견을 전달했다. 조율이 잘 이뤄지기 바란다”고 말했다.
신도시 중심에 위치한 부지가 1년 넘게 방치되면서 주민들의 다양한 활용 요구가 제기되고 있지만 전주시는 기무사 해체 발표 직후인 지난해 10월과 11월 단 2차례 공문을 보내 ‘지역주민 복리향상을 위한 시설로 쓸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한 뒤 1년 동안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국방부가 매각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예산 문제 등으로 매입 계획은 없다. 전화 통화로 국방부와 연락은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