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가 두 차례 부결했던 ‘플라즈마 열분해 에너지화 시범사업’을 진통 끝에 통과시켰다.
시의회가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 등의 반발 속에 지난달 부결한 안건을 한 달 만에 통과시키면서 의회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면서 25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 통과될지 주목된다.
24일 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는 전주시가 제출한 ‘플라즈마 열분해 에너지화 시범사업’을 원안가결처리 했다고 밝혔다.
플라즈마 열분해 에너지화 시범사업은 기존 소각 방식과 달리 생활폐기물을 고온의 플라즈마로 열분해하는 처리 방식이다.
전주시는 현재 광역소각시설의 시설연한이 2026년으로 다가옴에 따라 이 시설을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했다.
시는 이미 플라즈마 시범사업을 위해 와캔 컨소시엄과 시설규모 하루 20톤 규모의 설비를 구축하고, 사업에 필요한 비용 100억원은 모두 민간자본을 투자하겠다는 내용으로 협약을 맺었다.
2021년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해 검증절차를 거친 뒤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현재보다 30~50%까지 저감되는 효과를 거두면 전주시의 생활쓰레기 전체를 처리하는 용량의 처리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하지만 시의회는 ‘검증되지 않은 공법이다’, ‘20년 운영기간 보장은 시범사업의 목적과 맞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지난 3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부결 처리했다.
여기에 지역주민과 일부 시민단체까지 나서 사업 추진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는 등 진통을 겪었다.
이처럼 시의회와 지역주민 등이 반대했던 플라즈마 시범사업에 대한 동의안이 시의회 상임위 부결 한 달 만에 통과되면서 25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 통과될지 주목된다.
시의회 이경신 복지환경위원장은 “지난 회기에 부결된 안건을 다시 올린 것에 대해선 의회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렇지만 전주시의 소각행정을 고려하면 그만큼 시급한 사정이 있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시의회에서 제기한 문제점을 보완해 사전 논의한 뒤 재상정했다”며 “시의 생활쓰레기 시설연한을 고려하면 빠른 추진이 불가피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