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심사낙찰제의 대상범위를 확대하는 새로운 입찰제도의 실험이 본격적인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면서 전북지역 건설업체들도 대응력을 미리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북지역 건설업체들이 지난 2001년 첫 시행에 이어 2006년 300억 원 이상의 모든 공공공사에 확대 적용됐던 최저가낙찰제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면서 도내 건설시장을 외지 대형건설업체들이 독식하는 단초를 제공했던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24일 전북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300억 원 이상 공공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종합심사낙찰제를 100억∼300억 원으로 확대하는 ‘간이 종심제’ 시행을 앞두고 LH와 수자원 공사 등 주요 발주처에 시범 적용이 이뤄지고 있다.
종심제의 틀에서 공사수행능력과 대안제시 적정성을 평가하는 ‘대안제시형 낙찰제’도 시범사업이 임박했다.
새로운 입찰제도가 동시다발적으로 테스트에 착수하면서 시범사업 이후 이들 입찰제도는 내년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될 전망이다.
하지만 전북지역 건설업계는 대부분 새로운 입찰제도에 아무런 대비를 하지 않고 있어 과거 최저가낙찰제 시행 때와 같은 참담한 결과를 초래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덤핑입찰에 따른 부실우려 등 최저가 낙찰제의 폐해가 속속 드러나면서 지난 2016년부터 기술력 강화와 적정공사비 확보에 초점을 맞춘 ‘종합심사낙찰제’가 시행됐지만 새만금 관련 공사 등 대형공사는 여전히 수도권에 기반을 둔 대형건설업체들이 독차지 하고 있다.
실제 새만금 관련 사업으로 최초 발주됐던 새만금 방조제 1~4 공구의 경우 지역 업체 원도급 참여는 제로(0%)였으며 새만금 동서2축 도로공사도 지역 업체 참여비율이 15%를 기록했고 새만금 남북2축 공사도 참여비율이 10~18% 수준에 그쳤다.
그동안 발주됐던 300억 원 이상의 도로공사 대부분도 외지건설업체들이 수주하면서 전북업체들은 심각한 수주 난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전북지역 중견건설업체 관계자는 “새로운 입찰제도가 속속 시행될 전망이지만 전북지역 대부분 업체들이 경영난을 격고 있어 시행이 당장 코앞에 닥쳐있는 입찰제도에도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수주 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제도에 적응력을 미리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