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쳐나는 지역형 일자리? 군산형 일자리는 ‘다르다’"

박건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성장실장, 본보 인터뷰
"자동차 산업 관련 일자리 중복 없고, 있어도 수요 감당"

전국 9개 도시에서 진행 중인 ‘지역형 일자리’ 사업을 두고 우려와 기대의 시각이 교차한다. 산업통상자원부 박건수 산업혁신성장실장을 만나 군산형 일자리 상생 협약 의미와 전망을 들어봤다.

박 실장은 이날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군산형 일자리는 슬로건처럼 군산의 새로운 도약, 그 의미는 조선소와 군산지엠 폐쇄를 불식하고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군산형 일자리가 만들어지면서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는 현대차 내연기관 차, 횡성은 초소형 전기차, 군산은 상용차로 내연기관차, 전기차, 버스 트럭, 초소형 등 분야가 달라서 서로의 사업이 중복되지 않는다”며 “2030년까지는 국내에 4대 중 1대가 전기차 수요가 이뤄질 정도로 수요가 큰 산업으로 설사 일부 사업이 중복돼도 수요 감당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또 “정부는 지역투자보조금과 투자세액공제 등의 지원뿐 아니라 고용부나 중기부 등 관계부처 지원 사업을 통한 대외적 지원도 계획하고 있고, 전북도 및 군산시 등 지자체 차원에서도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등의 공동 지원이 함께 이뤄진다”며 “군산이 필요한 지원을 메뉴판 식으로 신청하면 중앙과 지방이 어우러져서 패키지로 지원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불거진 민주노총의 지역 일자리 사업 불참 의사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그는 “노사 상생은 말 그대로 노조와 사측이 서로 간 양보를 통해 서로 윈윈하는 관계를 만들어보자는 말”이라며 “민주노총에서는 적정임금 문제나 지역 공동교섭 문제의 경우 불만이나 반발은 있을 수 있다”면서도 “큰 차원에서 봤을 때 노조와 사측 모두 양보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노사 상생의 큰 틀 속에서 봐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부분을 감안해서 민노총 군산지부에서도 흔쾌히 동의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군산조선소 재가동 문제에 관련해서도 입장을 표명했다.

박 실장은 “최근 조선 수주가 중국을 따돌리고 세계 1위로 올라오면서 군산 조선소의 재가동 문제에 관해서 기대감과 관심이 클 것으로 안다”며 “현대중공업이 일정 부분 이상의 수주량을 확보하면 재가동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므로 군산시와 기업이 다시 협의하는 과정에 정부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역할을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