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 재가동 의지 없으면 매각하고 떠나라.”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 전북본부(이하 산단공)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 대한 조치에 군산시를 비롯한 지역 정치권과 상공업계는 산단공에 힘을 실어주는 양상이다.
특히 지역 정치권은 현대중공업이 군산조선소 재가동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 매각 또는 업종 전환을 촉구하며 현대중공업을 압박하고 나섰다.
강임준 시장은 “군산조선소는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한국GM 군산공장을 전북·군산형 일자리로 발전시킨 사례와 같이 군산조선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현대중공업은 조속한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군산조선소 재가동을 더 이상 지채하면 전북도와 협의해 지자체에서 지원한 200억 원(도·시비)의 투자유치촉진지원금 회수 등 모든 법리 검토를 통해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관영 의원(바른미래당·군산)은 지난 7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업무보고와 최근 열린 국정감사에서 “현대중공업이 산단공에 보낸 회신에 대해 관련 법령을 살펴봤지만 현대중공업의 일방적인 해석”이라며 “군산조선소 부지를 인수해 사용하겠다는 기업들이 있는 만큼, 산단공은 조속한 재가동을 촉구하고 안되면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군산시의회는 최근 열린 제222회 임시회에서 신영자 의원이 발의한 ‘군산조선소에 대한 해법을 조속히 내놓으라는 건의안’을 채택하고 현대중공업과 관련부처에 송부했다.
김경구 군산시의회 의장은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를 장기간 방치하면서 군산지역과 협력업체들을 더 이상 고사시키지 말고 재가동 의지가 없다면 공장을 매각하고 군산을 떠나야 한다”고 밝혔다.
군산조선조 가동 중단의 장기화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군산조선소 협력업체들과 지역 상공업계는 산단공의 이번 조치를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김광중 군산조선협회 회장은 “최선의 방안은 재가동이다”며 “그러나 더 이상 희망고문은 안된다. 새롭게 출발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전북도, 군산시는 군산조선소 재활용 방안을 조속히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지만 군산경실련집행위원장은 “현대중공업은 선박수주 물량 탓만 하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재가동 방안을 밝혀야 한다”며 “산단공은 관련법에 따라 애초 항만시설보호지구로 원상복구 시키는 등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