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천마지구 개발사업자 사전 선정 논란

전주시, 천마지구 노른자 부지 개발자 ㈜에코시티와 협약
항공대 이전 문제 등 수백억 손실 보전 차원 선정했다고 밝혀
전주시 개발 사업자 선정 ‘손실 고려’ 적정성 의문
부지 활용 기본계획 나오기 전 개발사업자 선정도 부적절

30일 전주 예비군대대 부지 인근 천마지구 구역이 개발되지 않아 공터로 남아 있다. 조현욱 기자

전주시가 천마지구(전주예비군대대 부지) 활용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 사업자를 미리 선정해 특혜 시비가 예상된다.

30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천마지구의 전주예비군대대 부지 개발사업자로 ㈜에코시티와 민자유치시행협약을 체결했다.

㈜에코시티는 사업협약으로 천마지구 전체 부지 47만1150㎡ 중에서 중앙 노른자 땅 18만㎡를 개발하게 된다.

전주시는 공개 경쟁 없이 ㈜에코시티를 사업자로 선정했다.

천마지구 개발에는 450억 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전주시는 천마지구를 예비군대대 이전에 맞춰 2025년까지 단계별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에 올해 6월부터 5억 원을 들여 구역지정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용역은 해당 부지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용역 결과는 내년 6월 나올 예정이다.

문제는 지구 개발 기본계획이 나오기 전 개발자부터 선정했다는 점에서 적정성 논란이 나오고 있다.

실제 전주시는 사업자 선정이 에코시티를 개발하며 수백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에코시티 개발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산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전주시는 항공대 이전 갈등으로 신도시 개발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져 ㈜에코시티가 700억~800억 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주시가 민간 기업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도시개발을 맡긴 것에 비판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여러 상황을 감안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렸다는 입장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천마지구 개발은 아직 시작 단계다. 예비군대대 이전 부지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고, 천마지구 내부의 민간인 이주 계획도 수립되지 않았다.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면서 “꼭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서라기보다 효율적인 사업 진행을 위해 ㈜에코시티와 협약을 체결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에코시티는 임실로 이전한 35사단 부지를 신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출범했다. 7개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이룬 특수목적법인으로 태영건설 40%, 포스코건설 19%, 한백종합건설 14%, KCC건설 11%, 상명건설 8%, 부강건설 4%, 성전건설 4% 지분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