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모친 고 강한옥 여사의 빈소가 마련된 부산 수영구 남천성당에서는 외부인의 출입이 통제된 채 조촐하고도 조용한 장례가 치러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30일 오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어머님의 신앙에 따라 천주교 의식으로 가족과 친지끼리 장례를 치르려고 한다”며 “많은 분들의 조의를 마음으로만 받는 것을 널리 이해해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평생 돌아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리워하셨고, 이 땅의 모든 어머니들처럼 고생도 하셨지만 ‘그래도 행복했다’는 말을 남기셨다”고도 전했다.
빈소가 마련된 남천성당 주요 출입로 등에는 청와대 경호원들이 배치돼 외부인의 신원과 방문 목적 등을 확인한 뒤 출입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7대 종단 관계자들로부터는 조문을 받았다. 또 문 대통령의 정신적 지주로 알려진 송기인 신부도 빈소를 찾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도 이날 빈소를 방문해 조문했다.
정치인들 가운데는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와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정의당 심상정 대표와 윤소하 원내대표가 조문했다.
정치인들의 조문은 사양하고 있으나, 정치논리를 떠나 먼길을 찾아 온 야당 대표들의 조문은 차마 거절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외에 정치인들의 조문이나 근조기 등은 거절됐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근조기는 전날 성당 입구에서 돌려 보내졌고, 이호철 전 민정수석도 성당 안으로 들어갈 수는 있었지만, 조문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두 번이나 남천성당을 찾았으나 조문하지 못했고, 김현미 국토부 장관도 전날 조문하러 왔다가 되돌아갔다. 오거돈 부산시장도 남천성당에 들어가긴 했으나 조문은 못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시민들의 조문 요청도 잇따랐지만, 역시 조문을 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렸다.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일동 명의의 근조 화환 등도 이날 오전 도착했으나, 문 대통령 측에서 정중히 사양하면서 되돌아갔다.
발인은 31일로 예정돼 있으며, 고인은 장례미사 후 경남 양산 하늘공원에 안장할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장례를 치른 후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태국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업무에 복귀한다.
한편 청와대는 노영민 비서실장이 30일 청와대 전 직원에게 메일을 보내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하는 등 평소처럼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