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유독 전북혁신도시를 둘러싼 논란이 많았다. 경기도가 5급 승진 공무원 자체교육을 추진하며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빈껍데기’로 전락할 위기를 겪었고, 농림수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대학이 멀티캠퍼스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국국토정보공사가 경북도와 드론교육센터 설립을 약속하는 업무협약을 맺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같은 시도들은 모두 전북도민의 극심한 반발에 막혀 현실화되진 못했지만, 혁신도시 이전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기에 충분했다.
가장 분노를 일으켰던 점은 이들이 변명이다. 혁신도시 건설 취지와 역행하는 행위가 드러났음에도 여전히 ‘지역상생’에 최선을 다했다는 말만 되풀이한다. 지자체와 소통에도 주력했지만 언론이 이를 곡해했다는 볼멘소리도 적지 않다.
이전기관 입장에서는 억울할 수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소통이라는 행위는 일방통행이 성립하지 않는다.
이들의 의지와 진심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지난 2015년부터 24번이나 진행된 혁신도시상생협의회 기록이다.
원칙상 이 회의에는 부기관장이 참석해야하지만, 도 부지사를 제외하고는 혁신도시 기관에서 부기관장 전원이 참석하는 경우는 없었다. 급기야 대표적인 혁신도시 이전기관과의 소통창구인 상생협은 이전기관들의 요청으로 개최주기가 격월에서 분기로, 이제는 연 2회로 그 주기가 대폭 줄었다.
참석자 대부분은 부장·과장급으로 이마저도 대리출석이 빈번했다. 속사정은 간단하다. 우리 측에서는 부기관장이나 국장급 이상이 나왔는데 다른 기관에서 과장이나 팀장을 보내 ‘급이 맞지 않았다’는 이유다. 이 때문에 자신들도 과장이나 팀장을 내보내거나 대리출석을 시켰다는 것. 참석자의 중량감이 부족하다보니 회의 역시 본질을 짚지 못한 채 형식상에 머무르고 있다. 진심은 말보다 행동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