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2019년 재가동 약속 ‘모르쇠’

현대重, 대통령과 대국민약속 불구 현재까지 일언반구 없어
전북도, 강단 있는 대처 절실…기업의 사회적 책임 물어야

“현대중공업은 대통령과 국민과의 약속에 응답하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2017년 6월 말 조선경기 침체를 이유로 가동중단됐다. 당시 85개사였던 협력업체는 현재 18개사만 남아 간간히 버텨오고 있으며, 조선업 근로자도 5250명에에서 230명으로 곤두박질쳤다. 조선소에 이어 협력업체, 그리고 근로자가 줄줄히 군산을 떠나면서 전북 경제는 파탄지경에 이르렀고, 정부는 군산을 산업위기대응지역으로 선포했다. 정부와 전북도는 현대중공업과 지속적인 타협점을 찾았다. 결국 최길선 전 현대중공업 회장은 2017년 7월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면담에서“2019년 군산 조선소를 재가동할 수 있다”고 약속했다.

최 전 회장은“2019년이 되면 (조선)업계의 상황이 호전될 것”이라며“군산조선소도 좀 어려움을 참고 견디다가 2019년부터 어떻게든 일할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었다.

그러나 2019년이 1개월 남짓 남은 상황에서 현대중공업은 현재까지 일언반구 없이 재가동 약속을‘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국민과 대통령에게 약속한 발언을 아무런 해명없이 넘어 가는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2019년 재가동 소식을 기다리며 희망고문에 지친 전북도민의 실망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전북 정치권은 현대중공업의 신뢰문제를 제기하며 차라리 조선소 부지를 매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산단공 전북본부와 군산시는 2년 넘게 조업을 중단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 대해 입주계약 해지와 지원금 회수 등 소송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방위 압박이 가해지자 현대중공업은“선박 수주물량을 확보할 경우 즉시 생산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 또 공장 성능 유지를 위한 시설물 점검 및 보수를 계속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휴업 상태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은 재가동 의지가 남아있다는 원론적 답변을 거듭하면서도 구체적인 청사진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과 합병에 전력을 집중하며, 정부의 지원사격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으로 약속은 안지키고 얻어내려고만 하는 대기업의 행태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조선소 가동중단 3년째인 2020년에는 전북 조선업 생태계는 더욱 빠르게 붕괴될 조짐이다. 실제 남아있는 군산조선소 협력업체 대부분은 업종 전환을 고려하고 있으며, 산업 생태계가 한번 붕괴되면 조선소 재가동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