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탄소산단 인근 대규모 부지 방치, 활용방안 無

시, 당초 탄소산단 153만㎡ 계획 후 국가산단 66만㎡만 조성
탄소산단 활성화 위해 나머지 부지 활용계획 수립 필요

27일 전주시 동산동에 위치한 효성 탄소섬유 공장 일대에 대규모 부지가 보이고 있다. 조현욱 기자

전주시의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조성 면적이 당초 계획의 절반에 그치면서 인근에 방치된 대규모 부지의 활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명실상부한 탄소산업의 메카로 조성되기 위해선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면적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27일 전주시에 따르면 오는 2024년까지 동산동과 고랑동, 팔복동 일원 66만㎡(약 20만평)에 2000억 원을 들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한다.

전주시는 지난 9월 보상계획 공고와 함께 토지 및 지장물 조서 작성, 감정평가 등 보상절차를 거쳐 2021년 착공할 계획이다.

이곳에는 약 6만6000㎡ 규모의 도시 숲을 조성해 전국에서 공원·녹지 비율이 가장 높은 친환경적인 산업단지로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됨에 따라 동부대로와 탄소산단을 연결하는 진입도로 개설비용 250억원과 탄소산단 내 저류시설 설치비 70억원, 폐수처리시설 설치 60억원 등 400억원 이상의 국비 확보가 가능해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 탄소소재와 최첨단 항공부품, 신성장 분야 등 70여개의 기업과 10여개의 R&D(연구개발)시설, 20여개의 지원시설이 들어설 전망이다.

그러나 전주시가 탄소산업의 메카로 조성하겠다며 당초 153만㎡(약 50만평)을 계획했다가 66만㎡로 축소되면서 나머지 부지는 그대로 방치될 처지에 놓였다.

전주시는 지난 2013년 이 일대에 대한 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수립해 시공사 선정까지 마쳤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산업단지 규모가 축소된데 따른 아쉬움도 크다.

더욱이 명실상부한 탄소산업의 메카로 조성하기 위해선 당초 계획대로 사업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전주시의회 송상준 의원은 “153만㎡ 중에서 66만㎡만 탄소산단으로 조성하게 되면서 나머지 부지는 방치될 처지”라며 “전주시는 탄소산단 면적을 확대하거나 추가 조성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당초 면적보다 축소된 것은 맞다. 국가산단 조성이후 기업유치 상황을 봐가며 추가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