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개관한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이 지난 10월 31일까지 진행한 개관특별전 이후 첫 기획전을 마련했다.
개관전 ‘수탈의 기억 군산’의 연장선에서 ‘수탈의 기억 전라북도’로 주제를 확장했다.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은 군산시 금광동 동국사 맞은편에 있다. 올해 6월 개관했으며 비영리단체인 대한역사연구소가 군산시로부터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동국사에서 소장하고 있던 일제강점기 유물과 역사 자료를 전시하기 위한 공간이다.
대한역사연구소 대표를 맡고 있는 동국사 주지 종걸 스님은 “아픈 과거이지만 지역의 역사를 잘 알아야 한다. 잘못된 일은 지적하고 알리고 기려야 할 일은 널리 알려야 한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며 이번 전시에 담은 포부를 밝혔다.
일제는 내선일체 정책을 통해 민족정신을 말살하고 공출과 부역으로 물질적인 수탈을 일삼았다.
29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 세달간 이어지는 이번 전시에서는 전북지역에서 자행됐던 일제강점기 일제의 만행을 고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에 당시 친일했던 매국노 이완용과 이두황의 파렴치한 면모가 담긴 서예작품과 서적을 전시해 이들의 만행을 꼬집었다.
동진수리조합 김제 신평천 관로공사, 사진주보 궁성요배, 전주소학교 교정에서 진행된 군용기 전북호 헌납식, 정읍농고 고부출신 징집기념 송별 등 색 바랜 사진자료에는 일제강점기 전북의 풍경이 담겨있다.
더불어 일제에 항거했던 독립운동가의 유품과 자료를 함께 전시해 역사의 의미를 되돌아보도록 했다.
김부식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 관장은 “이번 특별기획전을 통해 역사의 의미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강력히 저항한 순국선열의 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