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을 4차 산업혁명 전진기지로” 새만금 정책포럼 개최

총합적 규제특구 통한 새만금의 4차 산업혁명 전진기지화 제안
웰니스 산업과 연계한 새만금 관광인프라 구축방안 필요 역설

새만금을 채울 소프트웨어로 총합적 규제 특구 지정과 웰니스 산업 연계 등의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됐다. 새만금 국제공항 행정절차 마무리와 문재인 정부의 속도감 있는 개발 확약 등 하드웨어 측면에서 큰 진전을 보이는 상황에서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전북도는 지난달 29일 서울에서 ‘2019 새만금 정책 포럼’을 개최하고 새만금 미래산업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 정책 포럼에는 남궁근 새만금 정책 포럼 위원장을 비롯한 위원과 국무조정실 새만금 사업추진지원단, 새만금개발청, 새만금개발공사, 전북도, 전북연구원 등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새만금의 4차 산업혁명 전진 기지화’와 ‘웰니스 산업과 연계한 새만금 관광인프라 구축방안’ 등 2건의 논의 과제에 대한 포럼위원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법무법인 린 테크앤로 변호사인 구태언 위원은 새만금을 4차 산업혁명의 전진기지로 만들 방안을 제시했다. 구 위원은 “새만금을 총합적 규제 특구로 지정해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인 무인 자율주행, 드론, 원격진료 등의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을 진행하자”며 “이를 통해 개발된 기술과 제품을 검증하고, 산업화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자”고 말했다.

디지털 서울문화예술대 교수인 김미자 위원은 새만금 관광인프라 구축을 위해 웰니스산업과의 적극적인 연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위원에 따르면 웰니스산업은 생활 수준 상승과 건강에 대한 욕구의 증가로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관광산업이며, 시장 규모가 4.2조 달러(한화 약 5040조 원)로 세계 경제 생산의 5.5%를 차지하고 있다. 김 위원은 “새만금 관광 콘텐츠에 웰니스산업을 가미하면 상상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새만금에 건강과 힐링(치유)을 위한 웰니스 타운 및 웰니스 타워 조성, 전시컨벤션 센터, 테마파크 등 웰니스 관광 허브 건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럼위원들은 새만금에 웰니스산업을 도입하여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면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