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 당권파, 정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으로 구성된 ‘4+1 협의체’가 4일부터 공직선거법 개정안 등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처리 논의에 착수한 가운데 내년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전북 정치신인들이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각 당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지역구 의석수 감소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합의될지 알 수 없어서다. 특히 패스트트랙 원안을 적용했을 때 지역구가 통폐합될 가능성이 높은 익산갑·김제부안·남원임실순창 출마를 준비하는 입지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합의 결과에 따라 내년 총선을 준비해오던 지역구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4일 4+1협의체에 따르면 선거법 개정안은 전북의 의석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지역구 250석+비례대표 50석, 연동율 50%’ 안을 중심으로 의견 접근이 이뤄지는 모양새다.
다만 각론을 두고는 각 정당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연동형 비례대표제 비율 조정이 변수이다.
민주당은 한국당이 협상에 합류할 가능성을 열어놓기 위해 연동율을 40%까지 낮추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반면 바른미래당·정의당·평화당은 연동율 50%는 보장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호남 의석을 한 석도 줄여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펼치고 있는 평화당과 대안신당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지역구 의석은 수도권 지역만 4석으로 줄이자는 아이디어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축소가 검토되는 서울 노원·강남, 경기 군포·안산 지역구 의석 상당수가 민주당 지역이라 당내 반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밖에 패스트트랙 원안에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안,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의석수를 정해두는 안, 비례대표 의석을 부여하는 정당득표율 기준을 원안 3%에서 5%로 상향하는 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구 의석수 감소 문제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합의될 지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단 4+1 협의체는 이날 예산안 논의를 우선 끝마친 후, 선거법 개정안 등을 두고 9일까지 의견 조율을 마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처리가 끝난 이후에는 선거구 획정절차가 남아있다. 입지자들은 이때도 지역구 통폐합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기존에 통폐합 대상지역으로 거론되는 익산갑, 김제부안, 남원임실순창 지역에 출마하는 정치신인들은 긴장하하고 있다.
익산갑에 출마하는 대안신당 고상진 대변인은 “매년 선거마다 반복되는 기성 정치인들의 게리맨더링을 정치신인들이 돌파하긴 참으로 어려운 여건과 환경에 놓여있다”고 평가했다.
김제부안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는 문철상 전 신협중앙회장은 “김제부안 선거구 그대로 갈지, 부안이 정급고창으로 붙고 김제는 완주로 붙을지 걱정이 많다”며 “국회에서 하루라도 빨리 결정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국회 동향을 살피면서 자신이 출마할 선거구의 추이를 보는 출마자도 있다. 익산갑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는 김수흥 전 국회사무차장은 “‘250+50’이나 ‘240+60’안으로 결정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여유있는 익산을에 포함된 행정구역을 포함시키면 통폐합되지 않는다”며“크게 신경쓰지 않고 선거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