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는 외국인투자자들의 메도세에 소폭하락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간 무역합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지속적으로 시장을 압박했고, 무역의존도 높고 대외변수에 취약한 한국증시를 비중축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6.11포인트(0.29%) 하락한 2081.85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외국인은 1조852억원 순매도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6083억원과 3357억원을 순매수했다. 특징적으로 보면 외국인투자자들은 11월 7일부터 12월 5일까지 5조706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미중 양국은 무역협상의 부분합의 중 1단계 합의를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시장은 미 행정부가 15일 관세철회하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하는 선에서 타협이 될 것이라 전망했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스마트폰, 장난감 같은 소비재가 포함된 1560억 달러규모 중국산 제품에 15%관세를 부과한다고 예고했고, 중국 관영언론은 기존관세도 철폐해야 합의가 가능하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3일 대선 이후로 합의를 미룰 수 있다고 발언해 시장의 불안감을 키우는 모습이였다.
미중간 협상을 앞두고 힘겨루기모드에 들어서면서 대중국 관세부과 여부가 최종 결정될 15일까지 시장은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난달 조사결과보다 2%포인트 상승한 43%를 기록 중이고, 3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 잠정치 연율 2.1%를 기록해 시장예상을 상회했다.
여기에 소비시즌을 앞두고 관련 수입은 마무리된 상황이기 때문에 오는 15일 자동관세 부과 후 협상력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결국 미국이 관세부과를 유예할 경우 안도감이 형성될 것이며, 관세가 시행되더라도 실망감은 단기로만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 보여 1차 협상무산보다는 연말연초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수급적으로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도가 컸던 이유는 반도체업황 개선 실망감이었는데 외국인 매도를 멈추고 다시 IT업종을 담고 있는 상황이다.
실적과 수급까지 더해진다면 IT업종이 긍정적일 것으로 보여 관세관련 이슈로 시장의 조정을 받을 때 점진적으로 비중확대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김용식 KB증권 전북본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