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조충익 명장을 추모하며] 자연의 결에 혼을 새기던 조충익 명장, 자연에 스미다

고 조충익 선자장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한국인의 얼굴’ 태극선. 그 바탕이 전주이며, 그 부채를 만든 장인이 도무형문화재 제10호(지정: 1998년)인 죽전 조충익(1948∼2019) 명장입니다.

“부채는 내 혼을 담는 그릇입니다. 내가 만든 부채로 사람들과 공감하고 대화를 나누는 거죠. 내 생각과 마음을 부채에 담으면 말을 나누지 않아도 충분히 공감되는 것이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조충익 명장의 부채는 1982년 뉴델리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1984년 LA올림픽, 1985년 고베유니버시아드, 1994년 일본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등에서 우리나라 선수단의 손에서 세계 속으로 삼태극의 정신을 날려 보냈습니다. 특히 명장의 실험정신과 도전정신이 빛을 발한 건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때였습니다. 우리나라 선수들이 손에 들고 입장하며 흔들었던 태극선을 그가 제작한 것입니다.

태극선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앞장선 조충익 명장의 태극선은 세계인에게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한국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되었습니다. 혼을 담아낸 그의 부채에 많은 사람이 공감한 것입니다.

명장은 옻칠선·연화문선·곡두선·윤선·공작선·무궁화선 등 늘 새로운 부채를 만들고자 노력했습니다. 항상 같은 것을 만들어내는 것은 재주꾼의 일이고, 남이 하지 않는 것을 찾고, 사람들의 마음에 더 와 닿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이 장인의 몫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상처와 해학으로 바람 길을 열었던 선자장 조충익 선생이 12월 10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맑은 바람의 근원 찾아 나선 선생을 추모하며 명복을 빕니다. 조충익 명장의 장인정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최기우 극작가·㈔문화연구창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