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주시의 미래 성장을 이끌 신규 사업 발굴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신규 사업 발굴에 더욱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3일자 5면 보도)
전주시가 지난 12일 발표한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현황을 분석한 결과 신규 사업 64건 중 절반이 단순 생활민원이나 올해부터 계획을 수립해 추진해온 사업으로 나타났다.
먼저 전주시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산업경제 분야에선 신규 사업으로 전북중소기업연수원 건립과 청년청 건립, 드론산업 혁신센터와 탄소융복합 소재부품 고도화 기반구축, 기술창업성장지원센터 구축 등이 성과로 꼽힌다. 그러나 농식품 바우처나 택시감차보상까지 신규 사업으로 분류해 건수 부풀리기라는 지적을 받았다.
생태환경 분야는 12개 신규 사업에서 높이 내세울 사업을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다. 종합리싸이클링 증설, 전주동물원 보전시설 설치, 전주승화원 현대화 사업, 하수관리 정비, 노후하수관로 정비 등이 대부분이다. 계속사업에서도 하수관거 정비 사업이 무려 14건이나 등재, 전체 건수를 늘렸다. 그나마 전주혁신도시 미세먼지 기능 숲 조성과 전주 제1,2산단 완충저류시설 설치 등 2건이 성과로 꼽힌다.
주거복지 분야에서도 한국노인인력개발지원, 지역사회 통합 돌봄 등 정부 주관사업과 자전거도로 안전개선과 같은 생활민원을 신규 사업으로 분류했다. 아울러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 저소득층 마스크 지원, 장애인 일자리 지원, 노인요양시설확충, 장애인거주시설 기능보강 등 대부분 정부 주관 사업들이 주거분야 전체 사업의 절반을 넘었다.
시설SOC분야는 한국도로공사 연수원 건립(112억원), 전북권 보훈요양원 건립(90억원), 국민연금 2사옥(203억원), 전주교도소 이전(54억원), 용진-우아 국도대체 우회도로(202억원),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2333억원) 등 타 기관 사업이 전체 예산의 절반에 육박하는 3000억원 가까이 차지했다.
전주시정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문화관광분야 역시 낙제점 수준이다. 한국문화원형 체험·전시관 건립과 한옥마을 웰컴센터 건립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규 사업들이 도서관 리모델링과 체육관 개보수 등 소규모 주민 생활 민원 사업들로 채워졌다.
전체적으로 전주시 내년도 국가예산 신규 사업의 절반이 소규모 생활 민원 사업으로 미래 성장을 이끌 신산업은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래 성장을 이끌 적극적인 신규 사업 발굴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주시의회 강동화 부의장은 “국가예산 많이 확보했다고 하지만 내실을 보면 그렇지 못하다”며 “재정자립도가 약한 전주시는 매칭이 따라 붙는 국가사업보다는 굵직한 국가 주도사업을 유치하는 노력을 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계획에 맞춰 최대한 노력했다. 신규 사업 건수도 늘었다”면서 “우리시가 생각했을 때는 최대로 확보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