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총선 막 올랐으나 유권자는 허탈해

17일부터 총선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면서 사실상 21대 총선전의 서막이 올랐지만 전북발전을 견인할 역량있는 인물들이 별로 눈에 띄지 않아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 집권여당인 민주당은 지난 20대 총선에서 참패당한 민심이반 사태를 만회하려면 새로운 인재 영입과 물갈이를 통해 도민들의 선택 폭을 넓혀가야 하지만 아직 이렇다 할 인적쇄신 움직임이 없다. 다만 호남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도에 안주해 총선을 치르려는 경향을 보여 집권여당으로서 지역기반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더욱이 민주당으로 몰려들고 있는 입지자들 면면이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세를 등에 업으려는 청와대 출신 인사 외에는 특별히 두드러지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 총선에서 민심의 심판을 받았던 전직 의원들이 ‘미워도 다시 한번’을 외치며 속속 재등판에 나선다. 지난 대선 때 전북도민의 압도적 지지로 탄생시킨 문재인 정부에서 공공기관장을 맡아 이미 보상까지 챙긴 마당에 다시 권력의 단맛을 찾고 있다.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내년 총선에서 대대적인 인적쇄신 없이 예전처럼 ‘그 나물에 그 밥’으로 선거를 치른다면 민심이반 사태는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국가와 지역발전을 이끌어갈 미래 비전과 역량을 갖춘 인물을 발굴하고 갈수록 소멸 위기에 처한 전북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견인해 나갈 능력있는 인재들을 내세우지 않는다면 다음 총선은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전북에서 다수당으로 선택받았던 민주평화당과 민평당을 박차고 나온 대안신당, 그리고 바른미래당과 무소속 등 다수 야권도 지난 20대 총선에서의 향수에만 도취하여선 안 된다. 잘해서 도민의 선택을 받았다기보다는 민주당에 대한 반사이익 때문이란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탄소소재법과 새만금특별법 개정, 공공의료대학법 등 전북 3대 현안 입법 무산과정에서 보여 준 서로 남탓 공방은 도민들에게 큰 실망만 안겨 줬다. 대차고 뚝심있는 의정활동을 통해 소수 야당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북발전을 선도해 나가야 했지만 역부족이었던 게 사실이다.

이제 21대 총선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만큼 민주당과 야권은 정치적 이합집산에 따른 세몰이보다는 참신하고 역량있는 인물, 전북 발전을 당차게 이끌어갈 인재 발굴을 통해 도민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금배지가 목적인 정치꾼은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