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이어온 전주국제영화제 정체성 잘 살려갈 것”

이준동 신임 전주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취임 포부 밝혀
“영화 자원 서울에 몰려있지만 지역영상산업 가능성 분명”
“팔복예술공장 등 지역문화자원과 축제 연계 방안도 고민”

이준동 신임 전주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이준동 전주국제영화제 새 집행위원장은 “전주국제영화제는 국내외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좋은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20년간 쌓아온 전주국제영화제의 성과를 이어받아 영화제의 노하우와 정체성을 지키는 데 집중하려고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19일 기자들과 만난 이 집행위원장은“규모와 예산 부분으로는 부산 등 다른 영화제와 비교하면 열악하다고 볼 수 있지만 대안영화와 독립영화를 중심으로 내용을 채워가고 있는 전주의 발전 가능성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 집행위원장은 또 최근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이색적인 전시를 선보였던 팔복예술공장을 찾아 전시공간 등을 둘러봤다며 지역의 영상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고민도 털어놨다.

영화산업을 구성하는 인재와 정보, 자본이 서울에 집중돼 있는 현실에서 인적·물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영화제를 통한 지역인력을 키워내고 여러 곳에 분산돼 있는 지역문화자원을 연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최근 이슈가 된 프로그래머 모집과 관련, 이 집행위원장은 “영화판은 오래전부터 인력이 넉넉하지 않은 탓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그 중 가장 희소한 자원은 프로그래머라고 생각하고, 공모와 외부 추천을 통해 좋은 분을 모시는 게 제 할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주국제영화제’가 ‘공적 자원’이라고 말하는 이 집행위원장은 “국내만 해도 10여개의 크고 작은 영화제가 있다. 현재는 전주국제영화제만의 정체성을 새롭게 바꾸려는 시도보다는 현재의 것을 제대로 가꾸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며 “현재 제작하고 있는 작품에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국영화계 발전을 위한 일에도 에너지를 쏟아야 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