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막힌 전주 도로] (중) 뾰족한 답 못찾는 전주시 교통행정

전주, 땅 좁고 인구밀도 높아 교통혼잡 필연적
시, 도로 정체 인식하고 있지만 대안 없어 골머리

전주종합경기장 사거리에 수많은 차들로 인해 극심한 교통체증이 일어나고 있다. 전북일보 자료사진

 전주는 도내 14개 시군 중 인구밀도가 가장 높아 교통체증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도로망 구축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확실한 해결책이 없어 답답한 상황이다. 전주시는 교통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지만 현실적인 문제들에 막혀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전주 교통 혼잡할 수밖에 없는 이유

전주 면적은 205.5㎢다. 도내 지자체 중 가장 좁다. 인접한 익산(506.5㎢)이나 김제(545.1㎢), 완주(820.9㎢) 면적의 절반에 못 미친다.

반면 인구는 65만5000여 명으로 도내에서 가장 많다. 베드타운 성격을 가져 실거주 인구는 100만 명에 이른다는 추산도 있다.

작은 땅에 인구가 몰려 인구밀도가 높다. 지난해 기준 전주 인구밀도는 1㎢당 3167명이다. 대구(2773명), 광주(2980명), 대전(2813명) 같은 광역시보다 많다.

전주 도로가 혼잡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 이유고, 전주시가 다른 도시보다 도로망 구축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전주시 대안 찾지 못해 골머리

전주시도 교통흐름을 개선해 심각한 교통체증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최근 교통체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전주시는 교통체계 운영 개선과 주요 교차로 지하차도 개설, 우회도로 개설, 광역 차원 교통망 확충, 대도시권 혼잡도로 개선사업 반영 등을 검토했다.

하지만 검토결과 뾰족한 대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체계 개선은 효과가 미미하고, 대도시권 혼잡도로 개선사업은 도로법에 광역시만 해당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하차도와 우회도로 개설 등은 수천억 원의 사업비가 들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확실한 대안을 찾지 못해 답답한 것이 사실이다”며 “도로개설이 교통량을 쫓지 못하고 있다. 도로 개설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결국 운전자들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혼잡한 도로에 정원도시만 강조

전주시는 천만그루정원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주시내 곳곳에 정원을 만들어 자연친화적 도시로 가꾸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교통시설 문제는 현실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전주 첫마중길은 전주역 앞 도로 850m 구간 8차선을 6차선으로 줄이고, 광장을 조성했다. 도로를 보행자에게 돌려주고 문화공간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칭찬을 받기도 했지만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운전자들에게 빈축을 사고 있다.

이어 전주시는 26일 충경로 1.3㎞ 구간에 제2의 첫마중길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차선이 줄지 않지만 도로 폭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또 금암광장 교차로 개선사업과 효천지구-삼천동을 잇는 다리 등에 정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 같은 상황에 도시 조경도 중요하지만 교통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차선을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운전자는 “정원을 굳이 도로에 만들어야 하는지 의문이다. 좋은 뜻이지만 혼잡한 전주 도로 문제를 외면하면 안 된다. 도로를 넓혀야 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