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子)五七 陽明脈衰 面始焦 髮始墮”
한의학의 고전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의 상고천진론(上古天眞論)에 나오는 말이다. 생명체는 자손에게 자신의 유전형질을 물려주어 영원한 생명을 꾀한다고 했던가. 위 문구를 언뜻 보면 여성이 서른다섯 살이 되면 얼굴이 초췌해지고 머리카락이 빠지기 시작한다고 보이나, 왕성했던 기혈(氣血)이 줄어들어 생식능력이 급격히 약해진다는 속뜻을 가지고 있고 공교롭게도 이는 현대의 노산 기준과 부합되기도 한다. 실제 삼십 대 후반 산모들은 출산 후 회복속도가 몹시 더디다.
그렇다고 사회진출과 출산육아를 병행하기 위해 극복해야하는 장애물들이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 앞에,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이십 대에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 여성 환자를 설득할 용감한 의사는 그리 많지 않다. 그저 매년 높아가는 산모의 나이와 그에 비례하는 통증, 무기력, 우울증 등 산후병을 치료하면서 고민만 쌓일 뿐. 그러던 차에 들려온 2020년부터 전라북도 전역에서 ‘산후 건강관리 지원사업’이 시작된다는 소식은 매우 반가울 수밖에 없다. 내년 1월부터 출산한 전라북도 거주 산모는 도내 한의원, 한방병원, 산부인과병의원에서 출산 후 6개월 이내에 산후병 치료를 위한 쿠폰을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지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동안 저출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매우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출산율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라는 비판에 직면해왔다. 그러나 실패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라는 보고서에 의하면,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2005년 이후 10여 년 동안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출산율이 가파르게 증가하였다고 한다. 이는 결혼 전의 남녀의 혼인율을 높여서 출산율까지 높이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나, 결혼을 한 남녀를 대상으로 한 출산장려금, 의료비지원, 보육시설확충, 육아휴직제 등의 정책은 효과가 컸다는 의미이다.
산후 건강관리 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익산시가 먼저 시행하고 있다. 익산시 산모는 한의과와 산부인과에서 20만원에 해당하는 한약이나 침구, 추나, 진찰과 상담, 주사치료 등을 받을 수 있었는데 평가 결과는 놀라울 정도였다. 상반기 참여 산모 중 만족/매우 만족은 95.1%였고,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느낀 경우가 80.5%였으며 주변에 지원사업 참여를 추천하겠다고 한 경우도 97.6%였다. 이는 산모들의 산후 건강관리에 대한 욕구가 컸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눈여겨 보아야할 점은 익산시는 전라북도에서 저출산 정도가 가장 덜하다는 것이다.
저출산 지역은 합계출산율과 변화율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익산시와 군산시가 비교적 양호한 저출산 지역(1유형)인 반면, 전주시는 초저출산율에 진입했고 출산율은 증가하고 있는 초저출산탈출가능지역(2유형), 나머지는 모두 초저출산진입우려지역(3유형)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1유형인 익산에서 성공한 사업을 전라북도의 2,3유형 지역까지 확대하여 전면 시행하는 것은 전북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당연하고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내년부터 다자녀기준이 3명에서 2명으로 바뀐다고 한다. ‘둘만 낳아 잘 기르자’에서 ‘둘 낳아 기르려면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세상이 된 것이다. 전라북도한의사회도 산모의 건강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난임과 모유수유 친화적 한의치료에도 힘쓰리라 새해다짐을 해본다.
/양선호 전북한의사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