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와 완주군이 대한민국 수소산업을 선도하는 수소시범도시로 선정됐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29일 수소를 주된 에너지원으로 도시경제와 생활에서 시민이 활용하는 국토교통부의 수소시범도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수소시범도시는 전주·완주와 함께 경기 안산과 울산광역시 등 3곳이 선정됐다.
이들 3곳은 도시 활동의 핵심인 주거와 교통 분야에서 친환경 수소에너지를 활용하고, 지역 내 기존 인프라와 특화기술 및 현재 추진 중인 사업들과 연계해 실생활에 적용하고 실증하는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전주와 완주는 내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3년간 국비 145억원 등 총 320억원을 투입해 수소 에너지 생산 및 이용기반을 구축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증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완주군은 수소생산 및 광역공급 기지로 특화된 조성사업을 펼치게 되고, 전주시는 수소이용도시로 육성하는 상생협력 모델을 구축하게 된다.
이들 두 도시에는 수소버스 49대, 수소셔틀·테마버스 3대 등이 운행된다.
구체적으로 전주시는 △친환경 수소버스 대중교통 기반 구축 △한옥마을 수소 홍보관 구축 △한옥마을 내 셔틀버스 운영 △수소저장용기 기술개발 등을 추진한다.
완주군은 주거(공동주택) 수소연료전지 발전 실증 및 수소메가스테이션 구축 등을 맡게 된다.
두 시·군은 수소시범도시로서 수소 친화적 도시계획 수립비와 연료전지·파이프라인·수소 통합운영센터 등 핵심인프라 구축비 등 총사업비의 50%이내 지원을 받게 된다.
특히 수소 관련 중앙부처의 타 사업과 연계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수소버스 지원을 받게 되고, 수소가격 안정화를 위한 수소생산설비 사업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내년 국토부 예산에 125억원이 반영돼 있으며, 내년도 구체적인 시범도시사업 설계를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을 시작으로 3년간 실증 등 실증 및 사업이 진행될 계획이다.
시는 수소시범도시 선정을 통해 향후 수소산업이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미래먹거리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친환경 수소도시로서 수소시내버스 도입과 수소차량 보급 등을 통해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주시는 매년 1천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주 한옥마을 인근에 홍보관을 설치하는 등 수소에너지 홍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수소시범도시 선정은 완주군과 유기적인 협력, 전북도와 지역정치권의 협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향후 전주가 대한민국 친환경 에너지도시이자 수소경제 선도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