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민선체육회장 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후보들의 체육발전 방안과 공약을 밝힐 자리를 마련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 체육회장 선거관리위원회는 토론회 개최를 허용하지만, 후보자 전원 합의가 필요하고 토론회 비용 부담은 주최 측이 해야한다는 입장이어서 개최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토론회 방식이 아닌 전남도 체육회장 선거처럼 통합 간담회 형태로 진행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2일 대한체육회와 도체육회, 도체육회장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체육회장 선거 토론회 개최는 후보자 전원 합의가 이뤄져야 열릴 수 있다. 주최는 언론사가 보도 목적으로만 해야 하며, 참여대상은 사회자(진행)와 후보·언론이다. 지지자나 대의원 참여는 금지다.
토론회는 첫 민선 체육회장 후보의 정견발표와 공약을 듣고 상대후보에 대한 건전한 비판과 질의가 이뤄지는 자리인데, 대다수 후보들이 개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실제, 후보 한 명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들은 “도 체육회장 공개토론회를 열어야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여기에 선관위 측이 언론에 토론회 개최를 제의했지만, 시간이 촉박하고 비용을 자부담으로 해야하는 등의 문제로 토론회 성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 전북뿐 아니라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3개 시·도의 회장선거가 마무리 됐으나 정식 토론회가 열린 곳은 지금까지 한 곳도 없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토론회 개최가 어렵다면 토론회 형태를 띤 후보자간 질의응답 통합 간담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후보자 전원이 참석한 자리에서 정견발표와 후보자 간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형태로, 전남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가진 전남도 체육회장 선거에서 개최된 바 있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원래는 토론회를 개최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됐지만 깜깜이 선거라는 지적이 계속되자 후보자간 토론회 장을 허용하기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협의후 결정한 것”이라며, “기자실이나 회의실에서 간담회 형태로 언론 기자들과 후보간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형태로 열리는 방식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