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수소경제도시’ 통합 단초 기대감 확산

같은 생활권·행정서비스, 공동 경제활동 추진 눈길
전주시 수소경제도시 추진에 완주 우선 배려 관심

전주시와 완주군이 연말 유치한 수소경제도시 선정이 두 도시를 하나로 묶는 단초로 활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두 도시가 앞으로 추진할 수소경제도시 사업에는 완주군에서 수소생산과 광역공급 기지를 구축하고 전주시는 이곳에서 생산된 수소를 시민과 관광에 활용하는 명확한 역할분담이 담겨져 있어 향후 통합 논의의 방향설정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완주군과 전주시는 국토부가 전국 3곳을 선정하는 수소경제도시 시범도시 공모에 선정돼 앞으로 총320억 원을 투입해 수소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

이번 공모에서 전주시는 완주군을 앞세워 보조하는 듯 양보해 눈길을 끌었다.

도시 규모나 향후 지방비 투입 등에서 전주시의 부담이 큰 것을 감안할 때 전주시의 배려로 해석된다.

두 도시의 역할분담도 분명히 했다.

완주군은 수소생산 및 광역공급 기지로 조성하고, 전주는 생산된 수소를 이용하는 도시로 조성된다.

두 도시에 수소버스 49대, 수소셔틀·테마버스 3대 등이 운행된다.

특히 전주시는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주 한옥마을 인근에 홍보관을 설치해 두 도시에서 생산·공급되는 수소에너지를 홍보할 계획이다.

관광객들은 완주에서 생산되고 전주에서 활용되는 수소를 접할 수 있게 된다.

이 사업은 이미 세 차례나 아쉽게 무산된 통합의 불씨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더욱이 전주시는 앞서 완주군민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주승화원을 내줬고,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공동투자유치단 설치, 문화·체육 인프라 공동 구축과 이용 등 이미 다양한 협력 사업들이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사업들은 인위적 통합이 아닌 자연스런 하나의 생활권과 행정적 통합으로 두 도시의 통합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 정치권은 “정치적인 인위적인 통합보다는 시민과 군민이 자연스럽게 같은 생활권, 같은 행정서비스와 공동의 경제 활동을 통해 하나의 도시생활권이 되어야 한다”며 “수소산업도시는 중요한 경제 기반을 갖추는 하나의 생활권을 만드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