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미세먼지 여파와 환기가 어려운 겨울철을 맞아 관상용 식물 같은 실내 식물이 매출신장을 보이며 인기를 끌고 있다.
도내에 새해 첫 비상저감조치가 발령이 되는 등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관상용 식물이 미세먼지 저감과 쾌적한 환경 조성 및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실내 식물은 거실과 주방, 교실 등에 공간대비 2%을 넣었을 때 미세먼지가 13~25% 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와 같이 실내 공기를 식물로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최근 반려식물이라는 신조어가 나오고 있는 만큼 일반적인 선물용이 아닌 취미나 실내 인테리어, 건강 목적으로 식물을 키우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는 추세다.
집 안에서 실내 식물을 기르는 주부 김현정(53·여)씨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눈을 즐겁게 하기 위해 식물을 기르고 있다”면서 “주부들끼리 모여서 어떤 식물이 더 좋은 효과가 있는지 이야기도 자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같이 실내 식물에 대한 소비 트렌드 변화와 창문을 열기 어려운 겨울철을 맞아 화훼업계들도 관상용 식물의 매출도 늘고 있다.
특히 겨울철 관상용 식물 구매량이 15~20% 가량 증가했으며 월 매출액도 40만원 가량 상승했다.
도내에 화원을 운영중인 윤숙희(56·여)씨는 “하루에 1~2번은 꼭 관상용 식물 같이 집 안에서 기를 수 있는 식물들을 문의하는 손님들이 찾아온다”며 “아무래도 겨울철에는 창문을 열기 어렵다 보니 공기 정화를 위해 식물들을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저감 효율 높은 식물 발굴은 물론 시중에서 구하기 쉽고 기르기 쉬운 식물 선정해 정보 제공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광진 실장은 “실내 식물 뿐만 아니라 실외 식물의 저감 효율을 측정하고 더 많은 식물을 측정해 효율이 높은 식물을 탐색하겠다”며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해 미세먼지 저감 효율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