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임기를 1년 남겨두고 사의를 표명했다.
그가 총선출마를 위해 사임을 결정함에 따라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앞두고 있는 전북에서는 김 이사장의 뒤를 이어 지역금융생태계를 조성할 인물을 발탁해야한다.
전주가 금융도시로서 꿈을 실현하느냐 여부는 차기 이사장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칫‘서울 중심주의’에 매몰된 사람이 국민연금의 수장으로 임명될 경우 이제까지 쌓아온 공든탑을 한꺼번에 무너뜨릴 수도 있다.
이는 지난 국민연금의 태도에 비춰볼 때 전혀 무리한 주장이 아니다. 국민연금이 금융도시 조성에 적극 나선 것 또한 고작 2년여에 불과하다. 실제 이전까지 국민연금 내부에서는 기금운용본부를 서울로 돌려보내기 위한 온갖‘꼼수’가 자행돼왔다.
김 이사장의 전임자인 문형표 전 이사장은 2016년 11월 열린 국민연금공단 국감에서‘기금운용본부 공사화’를 주장해 파문을 빚었다. 여기에는 기금운용본부 전주 이전을‘전면 재검토’하려는 의도가 깔려있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전북금융도시 발전을 위한 국민연금 차원의 상생활동은 전무했다. 2017년 상반기에는 옛 기금운용본부 자리인 국민연금공단 강남사옥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한 것이 들통 나며 서울사무소 존치 논란이 확산됐다. 같은 해 10월 이사장이 공석인 채 진행된 국감에서도 국민연금은“투자자들은 전주 방문을 아주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해외 관련 투자 부서를 서울사무소 근무로 변경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을 의원들에게 내놓았다. 지역상생은 커녕 언제든 전북도민의 뒤통수를 칠 궁리만 하고 있던 셈이다.
향후 후임 이사장이 어떤 판단을 하느냐에 따라 전북금융도시의 성패가 좌우된다. 제3금융중심지 지정의 마지막 기회로 보이는 다음 ‘금융중심지 추진위원회’까지는 이제 열 달도 남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 지켜지려면 전북금융도시 발전에 기여할‘적임자’발탁이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