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지정 문화도시 탈락, 남원 고유의 문화 정체성 외면한 결과“

지역 원로 문화예술인, 소리로 대표되는 막연한 방향 설정 지적
사업추진위의 비전문성과 독단적 의사 결정도 질타
남원시 “사업추진위 재발족, 올해 말 2차 사업에 응모”

속보= “국악의 성지와 혼불문학 등 다양한 문화자산을 지닌 남원의 문화 정체성을 외면한 독불장군식 의사 결정이 낳은 비극입니다.” (7일자 9면 보도)

남원지역의 원로 문화예술인 A씨는 정부 문화도시 얘기가 나오자 고개를 가로젓는다.

그는 “남원의 문화도시는 초기 방향부터 잘못 설정됐다. 시민들에게 와닿지 않는 자연의 소리 같은 막연한 주제로 사업을 벌였던 게 문화도시 탈락이란 패착을 불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문화도시사업추진위원회에 비전문가와 다른 지역민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사업 방향성이 갈 길을 잃고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공감을 사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문화도시란 고유한 지역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화를 창달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법정 도시를 말한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8년 말 선정된 예비 문화도시 10곳을 대상으로 심의를 거쳐 남원과 대구, 경남 김해를 제외한 7곳을 제1차 문화도시로 최종 선정했다.

정부가 문화도시 사업을 전국 단위 법정사업으로 추진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남원시가 정작 문화도시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면서 지역 문화예술인들 사이에선 “죽 쒀서 개 줬다”는 자조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남원에서 출판업을 하는 B씨는 “남원이 잘할 수 있고 대외적으로 알려진 판소리나 문학 등의 자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것 같다.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선 좀 더 깊이 있고 다양한 소리 문화를 보여줬어야 한다”고 했다.

남원문화도시사업추진위원회 위원 C씨는 “문화도시 탈락은 예견된 일이다. 일부 위원들의 독단적인 운영과 비민주적 의사 결정이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크게 키울 문화도시 사업을 걷어찬 셈이다”고 했다.

남원시 관계자는 “다방면으로 문화도시 사업을 보완해 올해 말 2차 문화도시 지정 평가에 응모할 것”이라며 “문화도시사업추진위는 이달 새로 조직을 꾸려 재가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체부는 이번에 선정된 문화도시에 올해 국비 총 100억원을 투입한다.

또한 2024년까지 향후 5년 간 도시별 특성에 따라 최대 100억 원을 지원해 문화도시 조성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지난해 남원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강소 문화도시’를 표어로 소리문화도시 남원, 도시문화 등 예비 사업을 벌였지만 최종 문화도시 관문을 넘어서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