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21대 총선 공천심사관리위원회 명단을 확정한 뒤 14일부터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경력을 후로 이력에 포함하는 사안을 논의하는 등의 공천작업에 착수하면서, 지역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북 등 호남지역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60%대를 유지하고 있는 추세라 문 대통령 관련 직함을 사용하는 게 후보 개인 지지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일부 후보들은 문재인 대통령 이름이 들어간 경력을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민주당은 13일 공천심사관리위원회 구성을 마무리 한 뒤, 14일 국회에서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 참고 이력 기재 등의 사안은) 1차적으로 공심위 업무 소관”이라며 “공심위에서 (해당 사안이) 결정되면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시 상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현역의원 하위 10% 결과와 관련한 논의 등도 진행한다고 밝혔다.
당내와 전북 정치권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관련 경력을 사용하느냐를 두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찬성하는 측에서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본선 경쟁력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전북 예비후보자들 가운데 청와대 출신 인사는 김금옥 전 청와대 시민사회 비서관,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 신영대 전 청와대 행정관,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 이원택 전 청와대 행정관 등 5명이다.
반면 반대하는 측에서는 본인의 능력과 상관없이 문 대통령 브랜드에 의지한 지지율로 승부를 벌이기 때문에 공정한 경쟁을 펼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민심도 왜곡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도 낳는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찬반 의견이 엇갈리면서 민주당의 고심도 깊어가고 있다. 일단 당내에서는 무분별한 문재인 대통령 마케팅에 제동을 걸고 싶어하는 분위기도 읽힌다. 자칫 문 대통령 관련 직함 사용여부를 두고 벌이는 후보들 사이의 갈등이 친문과 비문 간 계파갈등으로 비춰져 민심에 부정적인 효과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20대 전북 총선에서 야권인 국민의당에 대거 의석을 내준 사실도 이같은 계파갈등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