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물체는 계속 그 상태로 운동하려고 하고, 정지해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고 한다.’
뉴턴의 운동법칙 가운데 제1법칙인 관성의 법칙이다. 달리던 버스가 갑자기 멈추면 가던 상태를 유지하려는 관성에 의해 승객들의 몸이 앞으로 쏠리는데, 관성의 법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예이다.
관성의 법칙은 송성환 전북도의회 의장에게도 강하게 작용한다. 특히 외유성 해외연수와 관련해선 예외가 없다.
송 의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유한폐렴) 확산으로 전국 자치단체가 위기관리에 나선 상황에서도 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으로 외유성 연수를 떠났다. 송 의장이 속한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에서는 “외교적 결례를 범할 수 있는 만큼 공식일정을 취소하지 못했다”고 해명했지만, 전북·강원·경남·부산·울산·세종 6곳 의회의 의장을 제외하곤 연수를 떠나지 않았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이유다.
송 의장의 해외연수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송 의장은 지난 2016년 9월 동유럽 해외연수과정에서 주관 여행사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재판까지 받고 있다.
이같이 송 의장은 관성처럼 법적·윤리적 논란이 있는 해외연수를 계속 떠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국가전염병 위기 대응단계가 국가 비상사태에 준하는 ‘경계’로 격상된 비상시국이다. 각 자치단체도 주요 행사를 취소하고 있고, 초중고등학교까지 개학을 연기하고 있다.
시국이 이렇다면 송 의장은 관성을 깨뜨려야 하지 않을까. 달리는 자동차가 바로 정지하지 못하듯이 논란이 있는 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날 시기가 아니다. 지방 광역의회 대표인 의장으로서 책임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지금은 다른 도의원들과 함께 지역구 주민들을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 지 논의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