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등과의 갈등으로 터덕였던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가 상생협약에 동의하면서 갈등이 봉합됐다.
전북도와 전북스마트팜 혁신밸리 반대대책위(이하 대책위), 김제시, 농어촌공사는 자연과 지역, 공존과 상생 원칙에 따라 상호 협약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8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공모 선정 이후 1년 6개월여 만이다.
상생협약에는 멸종위기종 보호 및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유수지 확대,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생태 공원화, 대형관정 개발 없이 인근 금강용수 및 용암천 관로를 연결해 농업용수원 확보, 지역 발전을 위한 주민 지원 상생협력 사업 발굴·반영 협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번 협약은 전북도와 김제시 등 지자체가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등이 함께 소통하면서 지역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형성된 상반된 입장 차이를 말끔히 해소한 모범적 성과를 이뤄냈다는 평가다. 전북도는 갈등이 해결됨에 따라 협약 이행을 뒷받침하고 추진상황 공유, 협력사항과 향후 운영 등을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 상생협의회’를 지역주민들과 공동으로 합의 구성하여 정례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절반의 습지 보전이라는 아쉬움을 뒤로 하고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멸종위기종 서식 자연습지와 공존하고 농업의 가치를 담을 수 있도록 합의 내용을 존중하고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서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합의가 이뤄진 만큼 지역 공동체의 화합과 발전을 위해 주민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착공식 이전에 구체적인 협약 이행계획 수립과 예산 조정을 통해 성실하게 추진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송하진 도지사는 “이번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관련 갈등 해결은 지역주민 등의 대승적인 차원에서 양보와 이해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결과”라며 “혁신밸리가 지역사회의 화합과 발전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에 도가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