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전북농업 발전 선도하길

지역주민과 환경시민단체 등이 반대했던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이 1년 7개월 만에 타결된 것은 뒤늦게나마 다행이다. 애당초 지역주민의 충분한 동의 절차를 간과한 탓에 정부의 공모사업을 따내고도 2년 가까이 갈등을 빚어오면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이 터덕거렸지만 이번 상생협약 체결 합의로 본궤도에 오를 수 있는 것은 잘한 일이다.

이번 합의에 이르기까지 인내와 소통, 상호 양보를 통해 합의안을 도출해 낸 전북도와 김제시 한국농어촌공사, 그리고 지역주민과 환경시민단체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양측 모두에게 아쉬움은 있겠지만 전북농업 발전과 지역 공동체의 화합, 그리고 자연환경 보존이라는 큰 틀의 성과를 일궈낸 것은 모범적인 갈등조정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이제 대승적 차원에서 자연과 지역, 공존과 상생 원칙에 따라 상호 협약을 체결하기로 합의한 만큼 협약내용 준수와 함께 친환경적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지역주민과 약속했던 멸종위기종 보호 및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유수지 확대를 비롯해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태 공원화, 지하수 대신 금강용수 및 용암천 관로 연결을 통한 농업용수원 확보, 지역주민 지원 상생협력 사업 발굴 등을 차질없이 이행해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과 환경시민단체도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이 국내 농축산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첫 시범사업인 만큼 전국에서 가장 잘 조성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

정부도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문재인 대통령의 전북 1호 공약이자 전북도가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 조성의 핵심사업인 만큼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 특히 전북에는 국가식품클러스터와 농촌진흥청 한국식품연구원 민간육종단지 한국농수산대학 등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집적화되어 있어 기본 인프라가 탄탄하기 때문에 이들과 연계해서 스마트 농생명 산업의 선도 거점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선 1800억 원에 달하는 스마트팜 단지와 임대형 스마트팜 보육센터 테스트베드 조성 예산과 스마트 농업 구축을 위한 빅데이터센터 건립 예산 등 국비 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맞은 전라북도가 4차 산업을 선도하는 스마트농업으로서 농도 전북의 경쟁력과 미래 발전을 이끌어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