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눈치만 보면 서곡교 교통 해결 못해

극심한 교통체증을 빚는 전주 서신동 서곡교 일대의 교통대란을 보면 전주시의 교통대책은 무엇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출·퇴근 시간대면 불과 300m 거리를 3~4번씩 신호를 받아야만 서곡교를 통과할 수 있는 데도 전주시는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 서곡교는 서신동뿐만 아니라 전북혁신도시와 만성지구, 서부신시가지, 송천동 에코시티 개발이 이뤄지면서 전주의 남북을 연결하는 교통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3만여 대에 달하는 차량이 이 구간을 통과하면서 매일 교통전쟁이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전주시는 환경단체의 반발 등을 우려해서 교통해소책 마련에 손을 놓고 있다. 교통행정의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전주시는 10년 전 서곡교 사거리에 언더패스 개설을 추진했었다. 사업 타당성 용역도 실시하고 10억 원의 공사비도 책정했다. 하지만 이곳 전주천에서 수달 서식지가 발견되면서 환경단체가 강력히 반대하고 나서자 언더패스 설치를 중단하고 말았다.

교통 전문가에 따르면 전주 서곡교 사거리의 상습 차량 정체로 인해 차량 운행비용 증가와 통행시간 증가, 교통사고 증가, 대기오염 증가 등으로 연간 100억 원 이상 손실이 발생한다는 분석이다. 자동차세와 유류세 등 꼬박꼬박 세금을 내는 전주시민들로서는 분통이 터질 수밖에 없다. 시민들이 막대한 교통 손실비용을 감당하고 있음에도 10년째 교통 소통대책 마련에 뒷짐만 지고 있는 것은 행정의 잘못이다.

전주시는 서곡교 사거리 일대에 고가도로를 놓든지, 아니면 언더패스나 지하차도를 개설하든지 어떠한 소통대책이라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환경단체 눈치만 보고 개설 비용 탓만 해서는 진정한 위민 행정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교통안전을 도모하고 통행 편익 증진에 적극 나서 것이 책임 행정을 구현하는 길이다.

환경단체나 지역주민, 교통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공론화의 장을 빨리 마련해서 무엇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인가를 도출해야 한다. 그리고 전주천 생태환경이나 지역주민들의 보행권과 안전에 문제가 없도록 보완대책을 세워서 서곡교 일대 교통 소통대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