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우울·불안·자해·극단적 시도 등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는 위기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책이 추진된다.
전북교육청은 위기학생의 극단적 행동 예방 계획을 4일 발표했다.
△학생 정서행동 성장지원 내실화 △극단적 선택(시도) 사안 위기개입 역량 강화 △자살시도 및 자해 등 위기학생 지원 △위기학생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운영 등 4개 분야에서 13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한다. 도내 초등학생 1·4학년과 중·고 1학년이 대상이다.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한 학생건강증진 전문가 협의체도 조직한다.
학생의 극단적 선택을 막을 수 있도록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교육 강화, 위기개입 담당자 상담·치유·회복역량 강화 연수 등을 추진한다.
상담·치료 지원도 촘촘해진다. 위(wee)클래스·센터, 가족단위 상담, 학생 자해대응 교사용 안내서 배부 등이다. 학교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된 위기관리위원회도 운영한다.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에 대해서는 1인당 600만원까지 정신과 및 상해치료비를 지원한다. 위기학생 발생교 중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학교에 대해서는 100만~500만원까지 치유프로그램 운영비가 지급된다.
고위기 학생을 위한 자문의사단과 병원형 위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고위기 학생의 심리·정서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문의 치료를 제공한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예방교육의 내실화해 위기학생 발생을 막고자 한다”며 “예방-상담·치료 지원-사후 지원 등 종합적인 지원 체체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