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북희망나눔재단은 5일 “신종 감염병을 위한 전문 인력과 공공 의료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논평을 냈다.
재단은 “지난 2016년 메르스 사태 이후 의료법이 개정돼 300병상 이상을 갖춘 병원은 전문 격리시설인 음압병실을 1개 이상 갖추도록 하고 있지만 이 같은 조치만으로는 대규모 감염병을 대응하기는 어렵다”며 “전북지역의 국가지정격리병상은 전북대병원(1인실 4개, 4인실 1개)과 원광대병원(1인실 3개)에 총 11개가 설치되어 있고 군산의료원에 추가로 2개의 격리병상을 운영, 사실상 13명의 감염병 환자밖에 치료할 수 없는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또 “전북지역은 감염병 환자와 의심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이 의사 22명과 간호사 39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적절한 격리조치와 수용인원 간의 증상에 따른 대처 등에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전북도가 적극 나서 감염병 대응과 예방을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계속되는 코로나 확산 분위기로 도내 음식점, 사우나, 찜질방, 극장 등 다중이용시설을 꺼리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어 지역 상권이나 소상공인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만큼 지역경제 위축 등에 대한 대응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