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옛 대한방직 부지 활용 공론화준비위원회 구성

활용 방향 논의할 공론화위 구성·일정 논의

옛 대한방직 부지. 전북일보 자료사진

전주시는 ‘대한방직 부지 시민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키기 위한 사전 단계로 공론화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6일 전주시에 따르면 준비위는 전문가 2명, 시민사회단체 2명, 공무원 1명, 시의원 1명, 언론인 1명 등 7명으로 구성했다.

준비위 위원은 이양재 원광대 도시공학과 명예교수, 이희진 한국갈등해결센터 이사, 김남규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정책위원장,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최무결 전주시 생태도시국장, 김진옥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장, 홍인철 연합뉴스 기자 등이다.

이들은 공론화위원회 위원을 선정하고, 위원회 역할과 회의일정에 대해 논의한다. 준비위는 오는 3월까지 활동을 마치고 정식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전주시는 최소 10차례 이상 회의를 열어 대규모 개발에 따른 잡음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 공론화위원회의 결정이 구속력을 갖지 않지만 전주시는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를 적극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개발전문회사인 자광이 1980억 원을 들여 매입한 옛 대한방직 부지(23만㎡)는 사유지다. 사유지 활용을 두고 공론화를 한다는 점에서 적정성 여부에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전주시가 현재 공업용지인 부지를 상업용지나 주거용지로 용도변경을 해줄 경우 특혜 시비가 벌이질 수 있는 만큼 신중을 기하기 위한 결정이었다는 점에서 갈등이 잦아들었다.

전주시 관계자는 “혹시 생길 수 있는 뒷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위원회라는 단계를 만들었다. 전주에서 중요한 부지에 대한 개발을 논의하는 만큼 시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공론화위원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