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과 국무총리 등이 관할하는 정부산하 주요 위원회에 참여할 전북인사 발굴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 주요 위원회에 전북 인사를 포진시켜 새만금 개발이나 금융중심지 지정 등의 주요 현안 사업 추진에서 전북의 목소리를 반영시키자는 취지다.
6일 전북도에 따르면 정부 소속 위원회는 모두 574개로 이중 전북현안과 밀접한 위원회는 35개로 분류됐다.
도는 35개 위원회를 중점관리대상 위원회로 정하고 전북 출신 인사가 위원회 위원으로 선정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들 위원회는 국가예산 확보와 국가계획반영의 핵심 키를 쥔 곳으로 전북 도정 현안사업 해결과도 관련성이 높다.
이와 관련 송하진 도지사는 최근 실무부처 간부들을 대상으로 “전북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발탁해 각종 정부 위원회에 포진시킬수 있는 방안을 찾아달라”고 주문했다.
현재 전북과 관련한 35개 정부 위원회 가운데 전북 출신 인사가 포함된 곳은 22개 위원회로 모두 48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중 당연직은 14명이며, 위촉직은 34명이다. 위원회 위원 임기는 2~3년이다.
정부산하 위원회 중 가장 핵심적으로 공략해야할 곳은 균형발전위원회가 1순위로 꼽힌다. 균발위는 대통령 직속 조직으로 지역균형발전과 관련한 핵심적인 전략을 도출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균발위에 전북 출신 위원은 단 한명도 없는 실정이다.
전북현안과 밀접한 위원회 중 전북 인사가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위원회는 국무총리실 산하 새만금위원회와 과학기술부 소속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등 2곳이다. 새만금위원회 위원장은 소순열 전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가 맡고 있으며,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장으로는 같은대학 설경원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활동하고 있다.
도는 각 실국별로 특별관리에 들어갈 위원회를 발굴하고, 전문가 인력 풀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35개 중점관리대상 위원회 가운데 규제개혁위원회·일자리위원회·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관광진흥개발기금운용위원회·국제경기유치심사위원회·도로정책심의위원회·연구개발특구위원회 등은 전북현안과 밀접한 연관성을 띠고 있다.
현 정부위원회 위원들의 임기는 내년도 상반기에 만료된다는 점에서 전북 출신 인재 찾기가 시급하다.
도는 중점관리 위원회 소속위원 확대전략을 총 4단계로 나눠 추진할 방침으로, 위촉 가능한 박사급 이상 전문가 인력풀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발굴한 전문가들은 정기적인 소통간담회 등을 통해 도정 이해도를 높이고, 정부위원회 추천 당위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전북출신 전문가들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전국단위 토론회에 이들이 활동할 수 토대도 마련할 계획이다.
여기에 오는 4월 15일 치러질 21대 총선 이후 정무위원회나 법제사법위원회 등 전북경제 관련 법안을 처리할 위원회에 전북 국회의원을 배치하는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