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지난 6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의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역경제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신종 코로나로 직격탄을 맞은 관광업 종사자와 중소기업, 소상공인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서다.
일자리청년정책과 등 관련 부서 4개반으로 구성된 지역경제비상대책반은 △중소기업 지원 △소상공인 지원 △물가·유통관리 △지역관광 등 지역경제 분야와 지역관광 분야를 중심으로 총력에 다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데 집중키로 했다.
중소기업 분야는 중국 수출·입 기업 피해상황을 파악하고 기업애로 상담창구를 열어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에 안내공문을 발송하고 SNS 홍보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국가 관광거점도시로 선정돼 문화와 관광업에 승부를 띄운 전주시는 한옥마을 내 숙박업, 음식점 등 소상공인 피해상황을 파악하고, 여행업체에 대한 여행상품 판매주의사항 고지와 지도점검도 병행 추진한다.
소상공인 분야는 전북중소기업청과의 협업을 통해 전북대 대학로, 서부시장, 신중앙시장, 모래내시장, 풍남문 상점가 등 5대 상점가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통한 피해상황을 파악하기로 했다. 이어 소상공인의 이자차액에 대한 보상과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유관기관 협조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물가·유통관리를 위해 한국소비자정보센터, 소비자 단체와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마스크와 손세정제 등 위생용품 매점매석을 단속하고, 사재기와 가격담합과 같은 시장 교란행위도 단속하기로 했다.
한편 전주시는 지난 3일 감염병 위기 단계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정부보다 빠르게 격상한 뒤 24시간 비상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감염병 예방 관리가 최우선이다. 여기에 지역경제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소상공인, 중소기업, 전통시장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분야를 적극 보호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