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전주형 통합돌봄 중점 추진

11일 복지·환경 분야 6대 추진전략 제시

전주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통합돌봄에 속도를 내는 등 복지 안전망 구축으로 전주형 복지도시를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

전주시는 11일 복지환경국 신년브리핑을 통해 복지·환경 분야 6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6대 추진전략은 △어르신 돌봄체계 선도 △양질의 장애인 일자리 확충 △영아부터 어린이까지 ‘야호 온종일 돌봄’ 브랜드 확립 △에너지 자립도시 구현 가속화 △새활용센터 다시봄을 거점으로 한 전주형 자원선순환체계 구축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배출시설 점검 강화로 시민안전 최우선 확보 등이다.

전주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전주형 통합돌봄 2020’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한다. 통합돌봄과를 신설해 돌봄 대상자를 지난해 550명에서 1200명으로 늘린다.

이어 양질의 장애인 일자리 확충을 위해 전국 최초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인증된 사업장인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올 연말까지 설립키로 했다.

에너지 자립을 위해 에너지 복지사업 추진을 위한 에너지센터가 오는 3월 문을 열 예정이다. 기후 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준공한 1호기에 이어 호성동 소재 천마배수지에 100㎾ 규모 제2호 시민햇빛발전소와 서신배수지에 100㎾ 규모 제3호 시민햇빛 발전소 건립을 추진한다.

또 미세먼지를 저감해 시민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45곳의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하고 팔복동 공업지역 등 환경오염 합동점검을 강화키로 했다. 이외에도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기준 완화,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300대 교체 지원,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확대, 어린이통학차량 LPG 전환 대상 확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민선식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복지와 환경은 시민 삶과 직결되는 분야로 더 꼼꼼하고 탄탄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유관기관과 연계·협력하고 내부적으로는 직원들의 역량을 결집해 사람중심의 복지·환경 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