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4년…전북 개성공단 입주기업 현실은

통일부, 지난 10일 개성공단 폐쇄 4년 맞아 "반드시 재가동 할 것" 목표 발표
도내 7개 기업 방북 신청 및 조기 방북 희망 중
해외·국내공장 가동 통해 폐업 위기 극복했으나 어려움 여전

지난 10일자로 개성공단이 폐쇄된 지 4년이 지난 가운데 전북에 본사를 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상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성공단서 철수했던 전북 기업들은 당초 경제난에 직면하면서 기업존폐 위기에 몰렸으나 인도네시아나 등 해외공장이나 국내공장 추가 가동 등 생산라인 정상화로 급한 불은 끈 상태다. 그러나 이들은 아직까지 개성공단 폐쇄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1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에 본사를 둔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모두 7곳이다. 이들은 모두 제조업체로 1곳을 제외하고 대부분 의류를 생산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생산시설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등지에 공장을 확충했다. 이마저도 자금사정이 그나마 나은 업체들의 이야기다. 규모가 영세한 도내 입주기업들은 조속한 ‘개성공단 재가동 및 피해보상 확대’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해외공장 신설은 막대한 자금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국내서 대체 생산을 하려해도 비싼 인건비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북지방중소기업청 등이 조사한 결과 개성공단이 폐쇄되기 전 지난 2015년 기준 개성공단 입주 7개 업체의 전체 물류 생산액 515억6200억 중 절반이상인 312억7700만원이 개성공단 생산액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국내공장 생산액은 170억 원 이었다. 그만큼 이들 업체들의 개성공단 의존도가 높았다는 의미다. 다행이 도내 기업 모두 국내에 생산라인이 같이 가동되고 있어 개성공단서 철수한 이후에도 영업중단 등은 피할 수 있었지만,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납품이 중단되면 거래처가 끊길까 염려가 돼 개성공단에서 생산하던 제품을 무리해서라도 계속 생산해야 했다. 높아진 인건비에 불어난 생산 손실액도 크다. 해외공장에서 생산을 이어가고 있는 기업들도 ‘메이드 인 코리아’를 선호하는 외국 소비자들의 성향을 충족하는 데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개성공단 기업들은 우선 개성공단에 남아있는 시설이나 장비라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설점검반의 방북허용을 요구하고 있다. 또 금융지원 확대와 강제폐쇄 등 재발 방지 대책수립, 노무관리 제도 개선을 호소하는 상황이다.

이에 통일부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 4년을 맞아 개성공단의 조속한 재개가 필요하다보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돌파구를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개성공단 사업이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의 중요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정부는 재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범시민운동본부, (사)개성공단기업협회 등 역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개성공단 재개의 즉각 선언을 촉구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도내 7개 개성공단 입주기업 가능한 빨리 개성공단 재가동이 결정되길 기다리고 있다”며 “이들 기업 모두 하루빨리 남북관계가 개선돼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길 바라는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