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김제시의 감염증 확산 예방을 위한 대응 체계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내 비상사태를 총괄하는 김제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보건소와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는 등 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시 보건소에 따르면 현재 확보한 KF인증 마스크는 고작 7130개이며 대부분 선별진료소, 113번째 확진자(전북 2번) 거주지인 봉남면, 자가격리자 등에 지급된 상황이지만 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마스크 및 손 소독제 확보양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김제시는 지난주부터 ‘심각’ 단계에 준하는 비상 근무체제에 들어갔다고 밝혔지만, 실제 대응 체계는 전혀 달랐다.
본보가 방문한 24일 시청사 근무자 대부분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심지어 보건소 근무자들 조차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드물었다.
시민들에게 개인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하면서 정작 공직자들은 이를 지키지 않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보건소 앞 선별진료소에서는 선별 검사를 받기 위해 시민들이 방문한 지도 모른 채 외부에서 장시간 기다리게 해 일부 시민이 항의하는 일도 발생했다.
김제시 관문인 종합버스터미널과 김제역에 대한 방역 관리도 부실하기는 마찬가지다.
김제역 역무실과 김제종합터미널 운영사에 따르면 역과 터미널을 통해 들어오는 시민 또는 방문객은 하루 평균 약 1000여 명에 이른다.
그러나 터미널과 기차역 내 열화상카메라 설치는커녕 타지역에서 들어오는 방문객들에 대한 발열 체크도 하지 않고 있었으며, 보건소 및 지자체 검역관도 배치하지 않았다.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위기 경보단계를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향후 일주일을 지역사회 확산의 중요한 고비로 보는 데다 인근 지자체에서 확진자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음에도 김제시는 열화상카메라와 마스크 공급 물량 부족만을 탓하고 있다.
김제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관계자는 “보건소의 현장 대응으로 재대본과 세부적인 내용은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마스크 및 열화상카메라를 신청했지만 품귀 현상으로 아직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