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내 경선 중복투표 등 각종 '잡음'

후보 적격자 심사·경선 결과 비공개 등 문제 제기

더불어민주당이 총선 후보로 나설 3차 공천자를 발표한 가운데 적격자 심사부터 경선 결과 발표 방식, 그리고 경선 여론조사 시스템 허점에 따른 중복투표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지난달 10일부터 진행됐던 민주당 공천 심사자 적격 판정을 가리기 위한 면접은 후보 개인 당 3분 내외로 너무 짧게 진행됐고, 면접위원들이 일부 도덕성 문제가 불거진 후보에게 해당 사안과 관련한 질문을 전혀 하지않고 그냥 통과시켰다는 일부 총선 후보들의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런가하면 경선이 끝난뒤 후보들의 득표율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아 깜깜이 경선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자동응답(ARS) 여론조사로 치르는 시스템 경선(권리당원 투표 50%. 일반시민 투표 50%)이기 때문에, 경선이 끝난 뒤 공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게 당원과 유권자들의 주장이다.

민주당은 경선결과를 발표하면서 각 지역구에서 1등을 한 후보자 이름만 공개했다.

공관위의 컷오프 결정에 반발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전주을 경선에서 컷오프 당한 최형재 전 더불어민주당 전주을 예비후보는 탈당계를 내고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면서 “(경선 결과와 관련한)아무런 이유도 밝히지 않고 배제할 수 있단 말이냐”며 “공정 경선을 기대하던 시민과 저의 상식적인 믿음을 헌신짝처럼 배반한 것으로 억울함과 분노를 참을 수 없으며, 공관위의 결정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울분을 토한 바 있다.

민주당 완주진안무주장수 선거구 경선에서 탈락한 유희태 예비후보는 “여론 조사와 관련해 당 차원에서 중복투표가 이뤄지지 않게하기 위해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여론조사에서 투표를 한 일부 권리당원이 다시 일반국민 여론조사에 재투표를 하는 등 중복투표가 가능해 공정한 경선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중앙당에서 후보자의 도덕성을 제대로 심사해 의혹이 사실이 아닐 경우 당이 직접 나서 후보자를 보호해야 하고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에는 이에 합당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총선 후보 경선 투표과정에서 대리투표도 일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완주군 일부 군의원이 인바운드 방식 투표가 진행되던 지난 26일 완주군 봉동읍에 사는 권리당원 A씨 집에서 고령인 A씨를 대신해 투표한 것으로 알려져 완주군 선관위가 조사에 나선 상황이다.

이처럼 민주당 경선과정에서 각종 잡음이 흘러 나오면서 앞으로 진행될 4, 5차 경선때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편 전북 마지막 선거구인 전주갑, 전주을, 남원임실순창 지역구에 대한 경선은 3일부터 5일까지 진행되면 그 결과는 5일 밤 공개된다.

 

/총선 특별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