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생활치료센터 확보를 통해 코로나19 경증환자를 치료한다고 밝혔지만 센터 지정조건이 까다로워 확보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정부는 2일 경증 확진환자가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할 수 있도록 시설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증환자의 갑작스러운 상태 악화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센터 확보는 외부와 차단이 확실하고 지역사회와 격리된 적절한 장소가 필요하다”며 “또 그 안에서 생활을 해야 하기 때문에 머무시는 분들의 식사와 쓰레기 처리 등 생활 조건과 위생 처리 등에 대해서도 충족해야 하고 또 관리 인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시설을 찾는 것이 간단하지 않고 확정된 경우에는 현지답사를 통해 거기서 소요되는 기본적인 물품, 배치해야 될 인력 특히 배후 의료기관 역할을 할 수 있는 대학병원급 이상의 기관과 연계가 필요하다”며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의사와 역량이 되는지도 확인을 해야 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덧붙였다.
전북도는 정부 방침에 따라 무증상·경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생활치료센터를 지정, 운영할 수 있는 시설 확보에 나섰다.
그러나 센터 지정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이 까다로워 조속한 센터 확보가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지금과 같이 코로나19 전파 확산 속도가 빠르고 타 지역 확진자들이 유입되면 이런 상황은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정부의 경증환자 진료 대책에 차질이 우려되면서 전북도가 준비한 격리병실 67실도 조만간 부족 현상을 빚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현재 협의의료기관으로 될 전북대병원과 원광대병원에 원활한 협조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장소 선정과 관련해 시군과 의견을 나누고 있으며 조속히 센터를 선정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