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익산박물관(관장 신상효)이 상설전시품을 소개하는 도록 <국립익산박물관> 을 펴냈다. 국립익산박물관>
도록은 1부 ‘익산과 전북 서북부의 역사와 문화’, 2부 ‘백제의 마지막 왕도, 익산’, 3부 ‘미륵신앙의 성지, 미륵사’로 구성됐다. 총 367쪽에 걸쳐 글과 291개 도판, 칼럼과 발굴현장 사진 등을 실어 익산의 역사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제1부 ‘익산과 전북 서북부의 역사와 문화’에서는 ‘방과 포용의 땅, 익산’, ‘마한과 백제시대의 익산’, ‘백제 멸망 이후의 익산’ 등 3편으로 나눠, 구석기시대부터 후백제와 견훤까지 다루고 있다.
제2부 ‘백제의 마지막 왕도, 익산’에서는 왕궁리 유적, 제석사지, 쌍릉을 중심으로 완숙하고 우아한 백제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백제가 그린 미래를 살폈다.
제3부 ‘미륵신앙의 성지, 미륵사’에서는 백제 최대의 사원 미륵사, 미륵사지 석탑의 건립과 수리, 출토 자료 등을 실었다.
이밖에 특별논고, 도판 목록, 참고 문헌 등을 부록으로 더했다. 특별논고는 이병호 국립중앙박물관 미래전략담당관, 신명희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사가 참여했다.
이병호 미래전략담당관은 ‘익산의 백제 문화유산 연구 110년’을 주제로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시작된 익산지역 근대적 문화유산 조사부터 미륵사지 석탑의 수리와 쌍릉의 발굴까지의 과정을 소개했다.
신명희 학예연구사는 ‘미륵사지 석탑과 왕궁리 5층 석탑 사리장엄구의 특징과 의미’를 주제로 고대 사리 신앙과 사리장엄구의 전래, 제작방법 등을 살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