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 마스크 사각지대 외국인 ‘헛걸음’ 태반

외국인등록증·건강보험증 제출해야 구매 가능
영문·중국어 등 안내문 없어 난감
전북도 “외국인에 구매 방법 안내 등 노력”

마스크 5부제 시행 첫 날인 9일 전주의 한 약국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구매하고 있다. 전북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외국인에 대해서도 공적 마스크 판매를 허용했지만 구입 방법이 까다롭고 홍보도 덜 돼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 5일 발표한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에서 외국인도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외국인등록증과 건강보험증으로 약국에서 내국인과 동일하게 1인 2매, 5부제에 따라 국매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정부에서 배포한 마스크 5부제 관련 홍보물이 한글로만 표기되어 있고 이런 홍보가 제대로 안 돼 약국을 찾았다가 되돌아가는 외국인이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건강보험증을 갖추지 못한 상당수 외국인은 아예 마스크 구입 자격조차 없다.

유학생이 많은 전북대 인근 A약국 관계자는 “한글로 된 유인물만 있어 구매 방식을 문의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많다”며 “그나마 한국어를 할 줄 아는 학생은 설명이 가능한데 한국어를 못 하는 경우 난감하다”고 말했다.

인근 B약국 관계자도 “방문한 유학생 중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행한 건강보험증이 없어 구매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러한 문제 때문에 현재까지 마스크를 구매한 유학생은 한 명도 없다”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국내에 6개월 이상 체류하는 외국인에 대해 건강보험에 의무 가입해야 한다.

그러나 유학생 대부분은 학교와 민간 보험에 가입하면서 공단 측 건강보험 의무 가입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북도 관계자는 “외국인 또는 외국인 유학생이 마스크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유학생과 외국인이 마스크 구매에 어려움이 없도록 방안을 모색하고, 정부에도 사각지대에 대한 개선 대책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