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순위 7석’ 배수진 친 민주당, 비례연합 성사될까

12~13일 전당원 투표, 정의·민주당 결정 주목
민생당 비례연합 참여 놓고 당내 의견 엇갈려

더불어민주당이 12~13일 80만여 명의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비례연합정당 참여여부를 결정한다.

당원 투표절차가 남아있긴 하지만 당 지도부의 공식·비공식 회의에서 참여가 불가피하다는 기류가 형성돼 사실상 비례연합정당 합류로 가닥이 잡힌 상태다.

다만 수도권과 영남권 의원들의 반대 기류도 여전해 당원투표에서 참여로 결론이 도출돼도 다소 잡음이 이어질 우려가 있다. 더욱이 민생당과 정의당도 참여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 당원 투표 강행…미래한국당에 대한 위기의식

민주당은 11일 당원들에게 보내는 ‘비례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위한 권리당원 투표 제안문’을 통해 “소수정당 원내 진입 보장이라는 선거제도 개혁 취지를 살리면서 미래통합당의 비례의석 독식과 원내 1당을 막고, 문재인 정부의 정권재창출의 토대를 만들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당원 여러분께 비례연합정당 참여여부를 여쭙고자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후순위 7석 배수진’이라는 카드도 내세웠다. 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상당 부분 포기하면서 소수 정당에 손을 내민 것은 미래통합당이 원내 1당을 넘어 과반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통합당이 1당이 되면 개혁입법과제가 무산되고 나아가 문재인 대통령의 탄핵을 추진할 가능성까지 있다는 우려도 깔려 있다. 어떻게든 범여권으로 묶이는 정당과 힘을 합쳐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당내 일부에서 반발 기류는 여전하다. 김해영 최고위원은 이날 “민심 이반을 가져오는 결정이 될 수 있다”고 반대했다. 당원투표에서 참여로 결론이 날 수 있다는 징표다.

 

민주당 결심 임박…민생·정의당 분열 양상

민생당과 정의당의 비례연합정당 참여는 여전히 미지수다. 정치적인 이해관계와 명분 때문에 민주당의 제안을 덥석 받기엔 난해한 상황이다.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등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3당이 뭉쳐 출범한 민생당은 대체로 참여쪽으로 기울고 있으나 내분에 휩싸였다.

민생당 공동대표 3명은 비례대표 연합정당 참여를 놓고 공개석상에서 충돌했다.

바른미래당 출신 김정화 공동대표는 “민생당이 친문(친문재인) 성격을 지닌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한다면 중도개혁 세력을 결집해야 할 당 목에 스스로 칼을 꽂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안신당 출신 유성엽 공동대표는 “미래한국당과 적폐 세력의 준동을 막지 못하면 더 큰 실패로 작용할 수 있다”며 “연대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평화당 출신인 박주현 공동대표는 “제3지대 선거연합을 통해 난국을 돌파해야 한다”며 ‘시대전환’등과의 연합을 강조했다.

비공개회의에서는 고성이 나오기도 했다.

정의당은 불참 입장이 확고하다. 지난 8일 열린 전국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특별결의문까지 채택해 결론을 뒤집기는 어렵다.

그러나 정치적인 이해관계를 따져볼 때 집권여당과 별도로 선거를 치르긴 어렵다. 민주당의 정치적 이벤트에 힘입어 컨벤션 효과를 누리는 성향도 있는데다, 지역구 선거에서도 민주당과 뭍밑에서 연대해야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한국당에 대해 위성정당이라며 포문을 쏟아부었던 범 여권으로선 현실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경우 큰 손해를 보게되고 위성정당에 참여할 경우 자칫 “그럴바에야 무엇때문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제1야당을 배제한채) 일방적으로 강행 처리했느냐”는 물음에 답하기 군색한 처지에 직면해 있어 이래저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총선 특별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