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이사장 직무대행 박정배) 국민연금연구원은 ‘베이비부머의 소득, 소비, 자산의 구성과 분포 변화 연구’, ‘자동조정장치 적용에 관한 수리적 검토’를 포함한 총 29종의 연구보고서를 17일 공개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높은 경제적 자원을 지닌 집단으로 확인됐으며 이전세대와 비교해 가처분 소득, 소비지출, 총자산액은 가장 높고 불평등 수준은 가장 낮은 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향후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이 될 경우 이전 노인세대와 달리 높은 소득과 자산, 고학력을 바탕으로 노동시장에서 보다 오래 종사해 노인빈곤율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조정장치 적용에 관한 수리적 검토’는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인 자동조정장치 적용에 대한 해외 사례(핀란드, 독일 ,일본)를 검토하고 이를 국민연금에 적용해 시사점을 도출했다.
‘대체투자 현금흐름을 반영한 위험-수익률 측정에 관한 연구’는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 현금흐름 등의 실제 투자 자료 분석을 통해 종결된 펀드들의 내부수익률 산출, 투자배수 등 다양한 정보를 담았다.
한편 연구원에서 발간한 모든 보고서는 국민연금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며 책자는 오는 5~6월 중으로 발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