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진행 중인 ‘일제 소독의 날’ 운영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부 비협조적인 시민들 때문에 방역에 구멍이 뚫리면 안 되기 때문이다.
전주시는 18일 3회째 일제 소독의 날을 맞아 PC방, 노래연습장, 체육시설 등 소규모 집단감염 우려시설에 대한 소독운동을 집중적으로 펼쳤다.
이는 최근 밀폐된 다중이용시설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이날 소독운동에는 공무원과 시민사회단체, 일반시민 등 1800여 명이 참여했다.
노래방 488곳과 게임장 330곳을 대상으로 자체소독 실시여부와 손세정제 비치상태 등을 점검했다.
하지만 소독운동에 비협조적인 사업주가 일부 있어 일제소독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경기가 위축되며 경영난을 겪는 사업장에서 소독을 독려하는 공무원 등을 향해 역정을 내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개인사업장은 업주의 동의 없이 방역요원이 임의로 들어가 소독을 할 수 없다. 방역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이유다.
전주시 관계자는 “사업주 대부분이 협조적이긴 하지만 일부 사업장에서 ‘장사도 안 되는데 왜 귀찮게 하느냐’비협조적인 상황이 발생한다”며, “소독을 강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협조를 부탁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