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당 최고위원회가 범진보진영의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기로 의결했다.
그러나 비례연합정당 참여를 두고 바른미래당계 의원들이 강력 반대했고, 김정화 공동대표 역시 이날 의결은 효력이 없다고 반박하는 등 민주평화당·대안신당 계파와 바른미래당 계파가 정면 충돌했다.
민생당은 18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바른미래당계 김정화 공동대표는 의원총회에서의 결의된 비례연합정당 참여를 안건으로 올릴 수 없다고 못 박고 자리를 떴다.
이에 민주평화당계인 박주현 공동대표는 다시 소집한 최고위에서 장정숙 원내대표와 황인철·이관승 최고위원 등 3인이 제안한 비례 연합정당 참여에 대한 제안을 상정하고 본인을 포함한 4명의 찬성으로 가결을 선언했다.
박 공동대표는 또 13일 본인이 불참한 가운데 김 공동대표 주도로 이뤄진 공천관리위원회 규정도 수정 의결했다. 공관위원 9명 중 외부 인사 2명에 대한 ‘공관위원장의 추천’ 부문을 삭제한 것으로, 바른미래당계가 맡기로 한 공관위원장이 외부 인사 영입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차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비례연합정당 참여 등 안건이 가결되자 바른미래당계 당직자 10여명은 ‘친문연합정당 참여 결사반대한다’는 등 내용의 손피켓을 들고 “최고위 의결은 무효다”, “이런식으로 진행하는 게 어딨냐”며 거세게 항의했다.
박 공동대표는 최고위 의결 후 기자회견을 진행하려 했지만 장내 소란이 이어지자 장소를 옮겼고, 또 다시 쫓아오려던 바른미래당계 당직자들이 몸싸움을 빚기도 했다.
우여곡절끝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박 공동대표 등은 “미래한국당이 교섭단체가 되거나 미래통합당이 원내 과반을 차지하는 상황이 되면 개혁진영이 아무 역할을 할 수 없다”면서 “긴급 사안이 마무리됐기 때문에, 선대위 구성 정도로 매듭짓고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고위 의사진행 효력을 놓고 양측이 상반된 입장을 고수하면서 계파간 갈등을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대안신당계 유성엽 공동대표는 이날 최고위에 참석하지 않았다. /총선 특별취재단